'양녕대군'에 해당하는 글 2건

 

 

세종(1397~1450, 재위 1418~1450)은 조선의 제4대 왕이다. 성은 이(李), 휘는 도, 본관은 전주, 사후 묘호는 세종(世宗)이다.
재위 기간 동안 과학∙경제∙국방∙예술∙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찬란한 업적을 많이 남겨 위대한 성군(聖君)으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세종은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삼남으로 태어났고 어려서부터 독서와 공부를 유독 좋아하였다.
1418년 태종은 황희 등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첫째(양녕대군)의 심각한 비행을 이유로 왕세자에서 폐위시킨다.
뒤이어 셋째 충녕대군(세종)을 왕세자로 책봉하고, 충녕대군은 1418년 조선의 제4대 임금 세종으로 즉위한다.

 

태종의 노여움을 사서 유배되어 있던 황희는 세종의 외숙부들을 죽음으로 몰고 세종의 세자 책봉을 반대했지만 세종은 그의 사람됨이 바르다는 것을 알고 중용한다. 세종은 황희, 맹사성, 윤회 세 정승에게 조정의 대소사, 국방 업무는 김종서에 위임하였고 내각 중심 정치제도인 의정부 서사제의 효시가 되었다. 그 외에도 신분을 가리지 않고 유능한 인재를 많이 등용하여 깨끗하고 참신한 정치를 펼쳐 나갔다.

 

집현전을 설치하고, 1443년 신숙주(申叔舟), 성삼문(成三問), 박팽년(朴彭年), 정인지(鄭麟趾), 정창손(鄭昌孫), 이개(李塏) 등의 집현전 학사들에게 명하여 3년여의 연구 끝에 훈민정음을 친히 창제하여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하였다. 훈민정음은 20세기에 들어 주시경 선생에 의해 한글로 정리되고 발전되었다. 또한 정인지, 정초, 이천, 장영실 등에게 명하여 각종 천문 관측 기구와 시계, 측우기 등 백성들의 생활과 농업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과학 기구를 발명하게 하였다.

 

국방 정비 면에서는 1419년 이종무 장군 등에게 명하여 대마도에서 왜구를 정벌하고 조선과의 무역을 허락하여 삼포를 개항했다. 이 후 오랫동안 왜구의 침입이 없어졌다. 1433년에는 최윤덕, 김종서 장군등의 여진족을 토벌을 지시하고, 평안도의 4군(四郡)과 함길도의 6진(六鎭)을 개척하게 하여 영토가 두만강 및 압록강 유역으로 확대되었다.

 

문종과 수양대군(세조), 안평대군, 금성대군 등의 자식이 있으며, 1442년부터 1450년 붕어할 때까지 아들 문종이 왕세자 신분으로 대리청정을 하였다. 세종은 죽어서도 부왕인 태종의 곁에 있고자 하였으나 풍수지리에 좋지 않다는 이유로 손자인 예종 때에 경기도 여주로 이장되었고 능 이름은 영릉이다.

 

자신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비롯하여 정인지·권제의 <용비어천가>, 정초·변계문(卞季文)의 <농사직설>, 정인지·김종서의 <고려사>, 설순(楔循)의 <삼강행실도>, 윤회·신장의 <팔도지리지> 등 각 분야의 서적을 편찬하였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헌릉 앞 문무석상>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은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나 고려의 문신을 거쳐 아버지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웠고, 왕자의 난을 거쳐 조선의 제3대 왕이 된 인물이며, 비는 민제의 딸 원경왕후이다.

 

성은 이(李), 휘는 방원(芳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유덕(遺德)이다. 태조의 아들들이 대개 무인으로 성장했지만 이방원은 무예나 격구보다는 학문을 더 좋아했다고 한다. 과거 급제를 하고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일으키자 아버지를 도와 고려 왕조 유지 세력을 제거한다.
1391년 모후 한씨가 사망하자 시묘살이를 하다가 정몽주가 이성계를 제거하려는 움직임 때문에 계모 강씨의 명으로 시묘살이를 중단하고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제거하였다.

 

1392년 이성계가 태조로 등극함에 따라 이방원은 정안공에 봉해졌고, 정도전과 신덕왕후의 추천에 의해 신덕왕후 강씨의 아들 방석을 세자로 세우게 되면서, 태조, 신덕왕후, 정도전과의 관계가 틀어지고 후에 왕자의 난 등으로 권력을 장악하였다. 정종에 이어 조선 3대왕이 된 후, 죽은 신덕왕후를 왕후가 아닌 후궁으로 격하시켰고 서자 및 서얼들의 관직임용 제한 규정을 만들어 이 규정은 1894년까지 지속된다. 부왕 태조의 능을 경기도 양주군 구리에 안장하고, 태조가 특별히 가까이 정동에 두었던 신덕왕후의 능 정릉은 도성 밖으로 이장을 명한다.

 

태종은 조선 초기의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관제 개혁을 통한 왕권 강화와 유교 정치에 온 힘을 쏟았다.
사병 혁파로 병권 일원화, 토지제도와 조세제도 재정비, 척불숭유 정책으로 사찰 정리,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의정부와 6조의 관료들이 왕에게 직속되어 정무를 다스리도록 하였고, 백성의 억울한 사정을 직접 풀어주기 위해 신문고를 설치하고 수도를 한양으로 다시 옮겼고 창덕궁, 덕수궁, 경회루, 청계천을 조성하였다.

 

자신을 등극하게 만들어준 공신들을 유배보내거나 처형하여 왕권을 강화하였고, 세종 때에는 조선이 정치적 안정과 문화적·군사적 발전을 이루게 될 수 있었다. 이거이 부자, 이숙번을 유배시키고, 아내인 원경왕후를 유폐시킨 후 왕비 민씨의 외척들을 유배시키거나 교살시켜 어떠한 정치적 개입도 하지 못하게 하였다. 세종이 왕이된 후에는 며느리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도 태종에 대한 불경죄로 숙청한다.

 

태종의 첫째 아들 양녕대군은 왕세자인데도 학문 연마를 게을리하고, 자유분방한 활동과 기생을 좋아하여 폐위되고,
둘째 아들 효령대군은 충녕대군이 왕세자가 될 것을 알고는 불가에 관심을 갖다가 후일 불교에 귀의하게 된다.
양녕대군을 폐위하는데 반대하는 신하들은 외지로 유배되었고, 셋째 아들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삼아 후에 세종대왕이 된다.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난 후에도 그는 4년간 줄곧 국정을 감독하였고, 병권과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1422년 태종은 보름이 넘게 병석에 있다가, 세종, 양녕, 효령 등 아들과 후궁과 그 자식들, 그리고 신하들이 애통해 하는 가운데 승하하였다. 태종의 능은 현재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위치한 헌릉이다. 원경왕후의 능과 함께 쌍릉으로 조성되어 있다. 

 

* 자료출처 : 위키피디아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