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불가론'에 해당하는 글 2건

 

 

 

고려말기 1388년(우왕14) 음력 5월, 요동 정벌을 위해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 하류의 위화도까지 이른 우군도통사 이성계가 개경으로 회군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신/구 세력의 교체가 진행되어 고려 충신인 최영이 축출되고 신진사대부와 이성계가 조선 왕조를 창건하는 기초적 계단이 확립되었다.

 

명나라 홍무제 주원장이 과거 원나라 때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가 있었던 철령(鐵嶺) 이북 지역의 고려 지역 반환을 요구해왔다. 마찬가지로 명나라가 차지하고 있는 요동 지역이 원래 고려의 영토였는데 우왕은 이에 요동정벌을 결심하였고, 이성계는 4불가론(四不可論)을 주장하며 요동정벌을 반대하였지만, 최영에 의해 강행된다. (최영은 우왕의 장인이기도 하다.)

 

* 4불가론
첫째, 작은 나라로서 큰 나라에 거역할 수 없다.
둘째, 여름에 군사를 동원할 수 없다.
셋째, 온 나라 군사를 동원하여 멀리 정벌하면, 왜적이 그 허술한 틈을 탈 것이다.
넷째, 지금 한창 장마철이므로 활은 아교가 풀어지고, 많은 군사들은 역병을 앓을 것이다.

 

우왕은 서경(평양)에서 최영을 팔도도통사, 조민수를 좌군도통사, 이성계를 우군도통사로 삼았다. 조민수와 이성계가 원정군을 이끌고 출정하게 하여 압록강 하류 위화도에 도착하였는데, 큰비로 인해 강물이 범람하고 사졸(士卒)중 환자가 발생하게 되자 진군을 중단하였다. 이성계와 조민수가 상의하여 요동까지 많은 강을 건너야 하는데 장마철이라 군량의 운반이 곤란하다는 등을 우왕께 올리며 회군을 청하였다. 하지만 평양에 있는 우왕과 최영은 이를 허락하지 않고 속히 진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성계는 조민수와 결의하여 왕명을 어기고 결국 회군을 결심하였고, 돌연한 회군에 우왕과 최영은 평양에서 개경으로 급히 귀경하였다. 최영은 개경에 당도한 이성계에게 잡혀 고봉현(고양)에 유배하였다가 처형하였으며, 우왕을 폐위시키고 강화도로 유배하였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태조 이성계(1335~1408)는 고려 말의 무신이자 조선의 초대 왕(1392~1398)이다.
성(姓)은 이(李), 본관은 전주, 휘는 단(旦), 초명은 성계(成桂), 초자는 중결(仲潔), 자는 군진(君晋), 호는 송헌(松軒)·송헌거사(松軒居士)이다. 원나라 쌍성총관부에 속해있던 함경도 영흥 흑석리에서 환조 이자춘과 의혜왕후 최씨의 적자로 태어났고, 아버지 이자춘은 원나라의 다루가치를 지내다가 원나라가 쇠퇴하자 고려에 귀화했다.

 

고려 공민왕(1356: 공민왕5)때부터 수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우며 변방의 무명 장수에서 일약 고려 제일의 장수가 되었다.
계속되는 승전은 백성들의 신망을 받게 되었고, 그에 따라 벼슬도 올라갔다. 군사력을 갖춘 신망받는 이성계에게는 자연히 신진사대부들이 몰려들었고, 이론과 정치적 연고가 부족하던 그는 신진사대부와 연대하여 정몽주, 정도전, 이색, 성석린, 최영, 조민수 등과 결속력을 다져나갔다.

 

1388년 2월 명나라가 철령(강원도 안변) 이북의 땅을 점령하겠다는 통고를 하자 최영은 반발했고 이성계와 신진사대부는 명나라의 요청을 받아들이자고 하였다. 최영과 우왕(1388년)은 명나라 기지인 요동 정벌을 주장했지만, 이성계는 4불가론을 내세우며 반대하였다.
결국 1차 요동정벌이 단행되었고 이성계는 위화도에서 개경으로 회군하여 우왕을 폐위하고 최영을 제거하여 군사적 실권을 장악한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위화도 회군은 조선왕조가 개창되는 단초를 이룬 사건이며, 정도전 · 정몽주 등의 적극적인 찬성과 지지 덕에 내부 반발을 무마할 수 있었다.

 

위화도 회군 이후 정도전 등의 역성혁명파(급진개혁파)를 이끌고 신 왕조를 수립할 계획(쿠데타)을 세우자, 고려에 충성하던 이색, 정몽주는 이성계의 적(온건개혁파)이 된다. 정도전을 통해 이색과 정몽주 등의 구세력들을 하나둘 탄핵하여 조정에서 축출하였고, 정몽주는 이성계를 제거하려다 다섯째 아들 이방원의 심복 조영규에게 선죽교에서 타살된다.
이성계는 정도전 등의 추대를 받아 1392년 음력 7월 17일에 송경(松京.개성) 수창궁(壽昌宮)에서 공양왕으로부터 선위(禪位) 받는 형식으로 왕위에 올라 개국하였다. 처음에는 민심의 동요를 염려하여 국호는 그대로 고려로 두었으나, 1393년 음력 2월 15일 조선(朝鮮)이라 고쳤다. 명나라에 책봉을 청하는 사신을 보냈지만 명나라의 홍무제는 그를 정식 국왕으로 봉하지 않고 권지고려국사라는 직책을 내린다.

 

이성계를 지지한 신진사대부는 수많은 사람들을 죽게하고, 유능한 관리들로 하여금 벼슬길을 버리고 은둔생활을 하게 만들었다.
고려 왕족 왕씨 일가를 배에 태운 후 강화도에서 배를 난파시켜 몰살시켰고, 특히 두문동의 72현을 비롯하여 고려의 유신들에게 개국공신과 그에 상응하는 개국원종공신의 지위를 내렸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거절하고, 낙향하거나 산으로 숨어버린다. 두문동에 모여 있던 고려의 옛 신하들이 마을에 불을 질렀는데도 한 사람도 나오지 않고 모두 타죽었다는 이야기는 당시 새 왕조에 대한 반감이 어느정도로 심했는가를 알게 해주는 일화이기도 했다.(두문불출)
결국 태조는 지역의 민심과 사상적 기반을 달리 해야 될 필요가 있다는 정도전의 건의를 받아들여 도읍지 천도와 국교(國敎)를 불교에서 유교로 개정할 결심을 한다. 1394년(태조 3년) 8월 태조는 왕씨의 본거지인 개경을 버리고 한양으로 천도를 명령했다.(지금의 경복궁)

 

태조는 조선의 3대 기본 정책을 내세워 건국이념으로 삼아 조선 왕조의 기반을 튼튼히 하였으니,
정치적으로는 명나라를 종주국으로 삼고 국호 및 왕위의 승인을 받아 양국의 친선을 도모하며, 그밖에 다른 나라와 교린하는 사대교린정책을 썼고, 문화적으로는 숭유배불(崇儒排佛) 정책으로 고려 말기의 부패한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건국이념으로 세웠으며, 경제적으로는 농본주의 정책으로 농업을 장려하고 전지(田地)를 개혁하여 농본민생주의에 따른 신분·사회 제도를 확립하였다.

 

태조에게는 정비인 신의왕후 한씨 소생의 여섯 왕자와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 소생의 두 왕자가 있었는데, 그 가운데 강씨 소생의 막내아들 방석을 몹시 사랑하여 세자로 책봉했다. 한편 조선 개국에 공이 컸던 한씨 소생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의 불만이 쌓였다. 이방원은 정도전 일파가 방석을 끼고 자신들을 해치려 한다는 이유를 들어 정도전 일파와 강씨 소생 왕자들을 살해했다.(1차 왕자의 난)

 

태조는 이방원에 매우 분개하였으며 왕위를 둘째 아들 방과(정종)에게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함경도로 들어간 채 돌아오지 않으므로 태종이 차사(差使)를 보내어 돌아오기를 권유하니, 차사마저 돌려보내지 않고 죽였다는 전설이 있어 함흥차사란 말이 생겨났다. 함흥에 있는 태조를 등에 업고 조사의가 방석의 원수를 갚기 위해 난을 일으키지만(1402년) 실패하고 태조는 뒤에 자초 무학대사가 가서 겨우 서울로 오게 하였다. 
만년에 불교에 전념 하다가 창덕궁 광연루 별전에서 74세로 승하하였고, 능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의 건원릉(建元陵)이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