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패법'에 해당하는 글 2건

하륜

History (Korea)/1392-1897 2014. 11. 14. 00:14

 

 

 

호정 하륜(1348년 1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은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이다.
태종의 최측근 인사이자 책사의 한 사람으로, 태종은 하륜을 자신의 장자방(장량)이라 했다.

 

초은 이인복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뒤이어 목은 이색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선배인 정도전, 정몽주, 조준 등을 만나게 되었다.
정몽주의 문하생 권근, 이인복의 동생 이인임과도 가까이 지냈고, 이인복은 하륜의 사람됨을 보고 동생의 딸과 결혼을 시켰다.
공민왕 말년부터는 신진사대부와 가깝게 지내다가 정도전 등의 권고로 권근 등과 함께 조선의 건국에 참여하였다.

 

하륜은 사람의 관상을 잘 보았는데 정안대군 이방원을 보고서 장차 크게 될 인물인 것을 알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정안대군의 장인 민제를 만나서 간청하여 이방원과의 만남이 이루어졌고 이후 그의 심복이 되었다.
정권을 잡게 되는 제1차 왕자의 난과 제2차 왕자의 난 당시 이방원의 최측근으로 실질적으로 계획하고 지휘했다.
제1차 왕자의 난에서 정도전이 남은의 첩의 집에서 술을 마신다는 정보를 입수, 정도전과 남은, 심효생 등을 불시에 습격하여 죽이고, 세자 이방석과 이방번을 제거했고, 제2차 왕자의 난에서는 박포 일당의 거병 계획을 미리 파악한 뒤 회안대군 이방간, 맹종 부자와 박포를 체포, 박포 일파를 죽이고 회안대군 부자를 유배시켰다.
태종 즉위 후 적서 차별, 호패법, 신문고, 저화(화폐) 사용 등을 건의, 불교를 비판하고 명나라에 자주 왕래하여 외교에도 공이 컸다.
후에 인사 청탁을 많이 받는다거나 정책을 태종과의 밀담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비판을 샀다.
 

 

  • 공민왕14년(1365) : 문과에 급제, 이인미의 딸과 결혼.
  • 공민왕17년(1368) : 감찰규정을 지내고 있을 때 신돈을 공박하다가 좌천/파직 됨.
  • 공민왕20년(1371) : 신돈이 사형당하자 복직되고 교주·강릉 도찰방에 오름.
  • 우왕6년(1380) : 성균관대사성으로 승진했으나 모친상을 당하여 관직에서 물러남.
  • 우왕9년(1383) : 어머니 3년 상을 마친뒤 복직.
  • 우왕11년(1385) : 명나라의 사신을 서북면에서 영접하는 일을 맡음.
  • 우왕14년(1388) : 최영의 요동 공격을 불가능하다며 적극 반대하다가 양주로 유배. 최영 처형 뒤 복직.
  • 공양왕3년(1391) : 전라도도순찰사가 되고 조선의 건국에 참여.
  • 공양왕4년(1392) : 고려가 멸망하자 관직을 사퇴하고 낙향하였으나, 이성계가 즉위 후 경기좌우도관찰사에 기용.
  • 태조2년(1393) : 한양 천도 적극 주장.
  • 태조4년(1395) : 부친상을 당하여 사직했으나 곧 기복되어 복직.
  • 태조5년(1396) : 명나라 홍무제가 표전물이 불손하다는 이유로 정도전을 소환하였는데, 대신 명나라에 들어가 해명.
    (이 과정에서 정도전으로부터 계림부윤으로 좌천되었다가 탄핵받고 파면, 수원부에 안치되었다가 복직, 충청도도순찰사가 됨)
  • 태조7년(1398) : 제1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운 공로로 문하우정승까지 승진.
  • 태조9년(1400) :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와 권력의 실세가 됨.
  • 정종2년(1400) : 이방원이 태종으로 즉위하자 진산부원군, 좌명공신 1등에 책록.
  • 태종1년(1401) : 관직을 사임했다가 다시 복귀. 문하생 윤회가 과거에 급제하여 적극적으로 후원.
  • 태종16년(1416) : 영의정부사까지 역임하고 노환을 이유로 치사 후 객사.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헌릉 앞 문무석상>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은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나 고려의 문신을 거쳐 아버지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웠고, 왕자의 난을 거쳐 조선의 제3대 왕이 된 인물이며, 비는 민제의 딸 원경왕후이다.

 

성은 이(李), 휘는 방원(芳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유덕(遺德)이다. 태조의 아들들이 대개 무인으로 성장했지만 이방원은 무예나 격구보다는 학문을 더 좋아했다고 한다. 과거 급제를 하고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일으키자 아버지를 도와 고려 왕조 유지 세력을 제거한다.
1391년 모후 한씨가 사망하자 시묘살이를 하다가 정몽주가 이성계를 제거하려는 움직임 때문에 계모 강씨의 명으로 시묘살이를 중단하고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제거하였다.

 

1392년 이성계가 태조로 등극함에 따라 이방원은 정안공에 봉해졌고, 정도전과 신덕왕후의 추천에 의해 신덕왕후 강씨의 아들 방석을 세자로 세우게 되면서, 태조, 신덕왕후, 정도전과의 관계가 틀어지고 후에 왕자의 난 등으로 권력을 장악하였다. 정종에 이어 조선 3대왕이 된 후, 죽은 신덕왕후를 왕후가 아닌 후궁으로 격하시켰고 서자 및 서얼들의 관직임용 제한 규정을 만들어 이 규정은 1894년까지 지속된다. 부왕 태조의 능을 경기도 양주군 구리에 안장하고, 태조가 특별히 가까이 정동에 두었던 신덕왕후의 능 정릉은 도성 밖으로 이장을 명한다.

 

태종은 조선 초기의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관제 개혁을 통한 왕권 강화와 유교 정치에 온 힘을 쏟았다.
사병 혁파로 병권 일원화, 토지제도와 조세제도 재정비, 척불숭유 정책으로 사찰 정리,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의정부와 6조의 관료들이 왕에게 직속되어 정무를 다스리도록 하였고, 백성의 억울한 사정을 직접 풀어주기 위해 신문고를 설치하고 수도를 한양으로 다시 옮겼고 창덕궁, 덕수궁, 경회루, 청계천을 조성하였다.

 

자신을 등극하게 만들어준 공신들을 유배보내거나 처형하여 왕권을 강화하였고, 세종 때에는 조선이 정치적 안정과 문화적·군사적 발전을 이루게 될 수 있었다. 이거이 부자, 이숙번을 유배시키고, 아내인 원경왕후를 유폐시킨 후 왕비 민씨의 외척들을 유배시키거나 교살시켜 어떠한 정치적 개입도 하지 못하게 하였다. 세종이 왕이된 후에는 며느리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도 태종에 대한 불경죄로 숙청한다.

 

태종의 첫째 아들 양녕대군은 왕세자인데도 학문 연마를 게을리하고, 자유분방한 활동과 기생을 좋아하여 폐위되고,
둘째 아들 효령대군은 충녕대군이 왕세자가 될 것을 알고는 불가에 관심을 갖다가 후일 불교에 귀의하게 된다.
양녕대군을 폐위하는데 반대하는 신하들은 외지로 유배되었고, 셋째 아들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삼아 후에 세종대왕이 된다.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난 후에도 그는 4년간 줄곧 국정을 감독하였고, 병권과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1422년 태종은 보름이 넘게 병석에 있다가, 세종, 양녕, 효령 등 아들과 후궁과 그 자식들, 그리고 신하들이 애통해 하는 가운데 승하하였다. 태종의 능은 현재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위치한 헌릉이다. 원경왕후의 능과 함께 쌍릉으로 조성되어 있다. 

 

* 자료출처 : 위키피디아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