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DB design'에 해당하는 글 7건

속성의 개념

속성이란 업무에 필요한 엔티티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이다.
엔티티타입에는 두 개 이상의 엔티티가 존재하고 각각의 엔티티는 고유의 성격을 표현하는 속성 정보를 한 개 이상 가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엔티티타입 - 엔티티 - 속성 - 속성값 ERD >
  • 규칙1. 한 개의 엔티티타입은 두 개 이상의 엔티티 집합이어야 한다.
  • 규칙2. 한 개의 엔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
  • 규칙3. 한 개의 속성은 한 개의 속성값을 갖는다.

속성의 분류

1. 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
  • 기본 속성 (Basic Attribute)
    업무분석을 통해 바로 정의한 속성 (제품이름, 제조년월, 원가...)
  • 설계 속성 (Designed Attribute)
    원래 업무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설계를 하면서 도출하는 속성 (코드, 일련번호... )
  • 파생 속성 ( Derived Attribute)
    다른 속성으로부터 계산이나 변형되어 생성되는 속성 (계산값...)

2. 엔티티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
  • PK(Primary Key) 속성
    엔티티를 식별할 수 있는 속성
  • FK(Foreign Key) 속성
    다른 엔티티와의 관계에서 포함된 속성
  • 일반 속성
    엔티티에 포함되어 있고 PK, FK에 포함되지 않은 속성

속성의 명명
  • 해당업무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부여한다.
  • 서술식 속성명은 사용하지 않는다.
  • 약어 사용은 가급적 자제한다.
  • 엔티티타입에서 유일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지정한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엔티티타입의 개념

엔티티타입은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단위이다.
엔티티타입은 엔티티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고, 반대로 엔티티라는 것은 엔티티타입에 속한 인스턴스 하나에 해당한다.
엔티티타입을 표시할 때 네모 박스 형태로 표시한다.

엔티티타입과 엔티티간의 ERD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엔티티타입 - 엔티티 ERD >

엔티티타입은 엔티티와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있어야 한다는 그림이다.
  • 엔티티타입 반드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여야 한다.
  • 유일한 식별자(Unique Identifier)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 엔티티타입 하나는 여러 개의 엔티티를 포함하여야 한다.(하나의 엔티티를 가진 엔티티타입은 의미가 없음)
  • 업무 프로세스(Business Process)는 그 엔티티타입을 반드시 이용해야 한다.
  • 엔티티타입에는 반드시 속성(Attributes)이 포함되어야 한다.
  • 엔티티타입은 다른 엔티티타입과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있어야 한다.

엔티티타입의 분류

1. 유무(有無)형에 따른 분류
  • 유형(Tangible) 엔티티타입
    물리적인 형태가 있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엔티티타입 (사원, 물품, 강사...)
  • 개념(Conceptual) 엔티티타입
    물리적인 형태가 없고, 관리해야 할 개념적 정보로 구분되는 엔티티타입 (조직, 상품, 장소...)
  • 사건(Event) 엔티티타입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엔티티타입으로 각종 통계자료에 이용되는 엔티티타입 (주문, 청구, 미납...)

2. 발생 시점에 따른 분류
  • 기본 엔티티타입 (Fundamental Entity Type)
    업무에 원래 존재하는 정보로서 독립적으로 생성되며 자신은 타 엔티티타입의 부모 역할을 한다.
  • 중심 엔티티타입 (Fundamental Entity Type)
    기본 엔티티타입에서 발생되고 그 업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 행위 엔티티타입 (Fundamental Entity Type)
    두 개 이상의 부모 엔티티타입에서 발생되고 내용이 자주 바뀌거나 데이터양이 증가된다.

엔티티타입의 명명
  • 가능하면 현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한다.
  • 가능하면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 단수 명사를 사용한다.
  • 엔티티타입에 부여되는 이름은 유일해야 한다.
  • 가급적 엔티티타입이 생성되는 의미에 따라 이름을 부여한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