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에 해당하는 글 2건

 

 

 

공민왕(고려31) - 우왕(고려32) - 창왕(고려33) - 공양왕(고려34).

 

공민왕과 공양왕 사이에 낀 우왕과 창왕은 정통인 왕씨(王氏)가 아니고 신돈의 아들인 신씨(辛氏)라는 주장으로 인해 폐위까지 이른다.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 일파가 정권을 장악하면서 '폐가입진(가짜를 폐하고 진짜를 들임)'을 내세워 우왕과 창왕을 내몰아 죽이게 되는데, 우왕의 출생배경을 돌아보면 이러하다.

 

신돈에게 '반야'라는 여종이 있었는데 자식이 없어 고민하는 공민왕에게 바쳐 아들인 우왕을 낳게 되는데, 우왕은 출산부터 어린 시절을 신돈의 집에서 보내게 되고, 7살이 되던 해(공민왕20년)에 궁궐에 입성하게 된다. 공민왕은 우왕의 정통성 논란을 예견하고, 우왕은 이미 죽은 궁인 한씨의 아들이라 발표하였는데 공민왕이 죽은 뒤 우왕 2년에 '반야'가 우왕의 생모임을 주장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어릴적 궁에서 자라지 않았던 점에 의해 의혹이 생기게 된다.
이성계 일파는 반야가 신돈의 여종임을 근거로 우왕과 그의 아들 창왕이 신돈의 후예라 주장하며 조선의 개국을 합리화시킨다. 조선의 학자들이 편찬한 정사인 《고려사》에는 반야를 신돈의 첩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이 내용을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우왕과 창왕의 신돈 후손설은 조광조가 비판한 후 송시열이 재비판하였고, 그 뒤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한 이후에는 신돈 후손설은 조선의 성리학자들이 조작한 설로 인정되었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세종(1397~1450, 재위 1418~1450)은 조선의 제4대 왕이다. 성은 이(李), 휘는 도, 본관은 전주, 사후 묘호는 세종(世宗)이다.
재위 기간 동안 과학∙경제∙국방∙예술∙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찬란한 업적을 많이 남겨 위대한 성군(聖君)으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세종은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삼남으로 태어났고 어려서부터 독서와 공부를 유독 좋아하였다.
1418년 태종은 황희 등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첫째(양녕대군)의 심각한 비행을 이유로 왕세자에서 폐위시킨다.
뒤이어 셋째 충녕대군(세종)을 왕세자로 책봉하고, 충녕대군은 1418년 조선의 제4대 임금 세종으로 즉위한다.

 

태종의 노여움을 사서 유배되어 있던 황희는 세종의 외숙부들을 죽음으로 몰고 세종의 세자 책봉을 반대했지만 세종은 그의 사람됨이 바르다는 것을 알고 중용한다. 세종은 황희, 맹사성, 윤회 세 정승에게 조정의 대소사, 국방 업무는 김종서에 위임하였고 내각 중심 정치제도인 의정부 서사제의 효시가 되었다. 그 외에도 신분을 가리지 않고 유능한 인재를 많이 등용하여 깨끗하고 참신한 정치를 펼쳐 나갔다.

 

집현전을 설치하고, 1443년 신숙주(申叔舟), 성삼문(成三問), 박팽년(朴彭年), 정인지(鄭麟趾), 정창손(鄭昌孫), 이개(李塏) 등의 집현전 학사들에게 명하여 3년여의 연구 끝에 훈민정음을 친히 창제하여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하였다. 훈민정음은 20세기에 들어 주시경 선생에 의해 한글로 정리되고 발전되었다. 또한 정인지, 정초, 이천, 장영실 등에게 명하여 각종 천문 관측 기구와 시계, 측우기 등 백성들의 생활과 농업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과학 기구를 발명하게 하였다.

 

국방 정비 면에서는 1419년 이종무 장군 등에게 명하여 대마도에서 왜구를 정벌하고 조선과의 무역을 허락하여 삼포를 개항했다. 이 후 오랫동안 왜구의 침입이 없어졌다. 1433년에는 최윤덕, 김종서 장군등의 여진족을 토벌을 지시하고, 평안도의 4군(四郡)과 함길도의 6진(六鎭)을 개척하게 하여 영토가 두만강 및 압록강 유역으로 확대되었다.

 

문종과 수양대군(세조), 안평대군, 금성대군 등의 자식이 있으며, 1442년부터 1450년 붕어할 때까지 아들 문종이 왕세자 신분으로 대리청정을 하였다. 세종은 죽어서도 부왕인 태종의 곁에 있고자 하였으나 풍수지리에 좋지 않다는 이유로 손자인 예종 때에 경기도 여주로 이장되었고 능 이름은 영릉이다.

 

자신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비롯하여 정인지·권제의 <용비어천가>, 정초·변계문(卞季文)의 <농사직설>, 정인지·김종서의 <고려사>, 설순(楔循)의 <삼강행실도>, 윤회·신장의 <팔도지리지> 등 각 분야의 서적을 편찬하였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