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에 해당하는 글 2건

 

단종(1441~1457, 재위 1452~1455)은 조선의 제6대 왕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이고, 휘는 홍위(弘暐)이다.

 

1441년 문종과 현덕왕후의 외아들로 태어났으나 몸이 약한 현덕왕후가 단종을 낳은 지 3일 만에 산욕으로 세상을 떠나고, 세종의 후궁인 혜빈 양씨의 보살핌 아래에서 성장하였다. 단종은 1448년 8살이 되던 해에 왕세손으로 책봉되었고, 세종은 조선 5대 왕 문종이 병약한 이유로 일찍이 황보인·김종서·성삼문·박팽년·신숙주 등에게 왕세손을 지켜줄 것을 부탁하였다. 1450년 단종은 문종이 즉위한 그 해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1452년 문종이 병으로 승하하며, 12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단종은 어릴 때부터 매우 영리하였으나 혼자서 나랏일을 결정할 수가 없었고, 점점 정국이 불안해진 가운데 위축된 왕권과 달리 세종의 둘째아들 수양대군 등 종친의 세력이 나날이 팽창되어 갔다.

 

단종이 즉위하고 1년 만인 1453년 10월 수양대군은 한명회·권람 등과 공모하여 홍윤성·홍달손 등의 병력을 동원함으로 문종의 고명을 받아 단종을 보필하던 황보인·김종서·정분 등을 죽이는 계유정난을 일으키게 된다. 곧이어 아우 안평대군을 강화도에 유배, 사사시키며 정권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수양대군이 실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왕의 측근인 금성대군 이하 여러 종친·궁인 및 신하들을 모두 죄인으로 몰아 각 지방에 유배시켰다.

 

1455년 단종은 한명회·권람 등의 강요에 못이겨 수양대군(세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되었다.

 

1456년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응부·유성원 등이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동모자인 김질의 고발로 발각되어 모두 처형된 후 단종도 이 사건에 관련지어 1457년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다. 그리고 수양대군의 동생인 금성대군이 다시 경상도 순흥에서 복위를 도모하다가 발각되어 사사되자 단종은 노산군에서 다시 강등이 되어 서인이 되었으며, 계속해서 자살을 강요당하다가 1457년(세조 3) 영월에서 죽었다. 사람들은 화가 미칠까 두려워 시신을 방치했고 그 지역 호장으로 있던 엄흥도는 관을 비롯한 장례 기구 일체를 혼자서 마련하여 정중하게 장사를 치른 후, 벼슬을 내놓고 숨어 살았다.

 

단종복위운동을 하다가 죽음을 당한 이개, 하위지, 유성원, 성삼문, 유응부, 박팽년 등의 6명을 사육신(死六臣)이라 하고,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분개하여 한 평생을 죄인으로 자처한 이맹전, 조여, 원호, 김시습, 성담수, 남효온 등 6명을 생육신(生六臣)이라 한다.

 

단종의 억울한 죽음과 강봉은 200여 년 후인 1681년(숙종 7) 신원되어서 대군에 추봉되었으며, 1698년(숙종 24) 임금으로 복위되어 묘호를 단종이라 하였다. 능은 단종이 목숨을 끊은 강원도 영월의 장릉(莊陵)이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헌릉 앞 문무석상>

 

 

태종(1367~1422, 재위1400~1418)은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나 고려의 문신을 거쳐 아버지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웠고, 왕자의 난을 거쳐 조선의 제3대 왕이 된 인물이며, 비는 민제의 딸 원경왕후이다.

 

성은 이(李), 휘는 방원(芳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유덕(遺德)이다. 태조의 아들들이 대개 무인으로 성장했지만 이방원은 무예나 격구보다는 학문을 더 좋아했다고 한다. 과거 급제를 하고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일으키자 아버지를 도와 고려 왕조 유지 세력을 제거한다.
1391년 모후 한씨가 사망하자 시묘살이를 하다가 정몽주가 이성계를 제거하려는 움직임 때문에 계모 강씨의 명으로 시묘살이를 중단하고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제거하였다.

 

1392년 이성계가 태조로 등극함에 따라 이방원은 정안공에 봉해졌고, 정도전과 신덕왕후의 추천에 의해 신덕왕후 강씨의 아들 방석을 세자로 세우게 되면서, 태조, 신덕왕후, 정도전과의 관계가 틀어지고 후에 왕자의 난 등으로 권력을 장악하였다. 정종에 이어 조선 3대왕이 된 후, 죽은 신덕왕후를 왕후가 아닌 후궁으로 격하시켰고 서자 및 서얼들의 관직임용 제한 규정을 만들어 이 규정은 1894년까지 지속된다. 부왕 태조의 능을 경기도 양주군 구리에 안장하고, 태조가 특별히 가까이 정동에 두었던 신덕왕후의 능 정릉은 도성 밖으로 이장을 명한다.

 

태종은 조선 초기의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관제 개혁을 통한 왕권 강화와 유교 정치에 온 힘을 쏟았다.
사병 혁파로 병권 일원화, 토지제도와 조세제도 재정비, 척불숭유 정책으로 사찰 정리,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의정부와 6조의 관료들이 왕에게 직속되어 정무를 다스리도록 하였고, 백성의 억울한 사정을 직접 풀어주기 위해 신문고를 설치하고 수도를 한양으로 다시 옮겼고 창덕궁, 덕수궁, 경회루, 청계천을 조성하였다.

 

자신을 등극하게 만들어준 공신들을 유배보내거나 처형하여 왕권을 강화하였고, 세종 때에는 조선이 정치적 안정과 문화적·군사적 발전을 이루게 될 수 있었다. 이거이 부자, 이숙번을 유배시키고, 아내인 원경왕후를 유폐시킨 후 왕비 민씨의 외척들을 유배시키거나 교살시켜 어떠한 정치적 개입도 하지 못하게 하였다. 세종이 왕이된 후에는 며느리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도 태종에 대한 불경죄로 숙청한다.

 

태종의 첫째 아들 양녕대군은 왕세자인데도 학문 연마를 게을리하고, 자유분방한 활동과 기생을 좋아하여 폐위되고,
둘째 아들 효령대군은 충녕대군이 왕세자가 될 것을 알고는 불가에 관심을 갖다가 후일 불교에 귀의하게 된다.
양녕대군을 폐위하는데 반대하는 신하들은 외지로 유배되었고, 셋째 아들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삼아 후에 세종대왕이 된다.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난 후에도 그는 4년간 줄곧 국정을 감독하였고, 병권과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1422년 태종은 보름이 넘게 병석에 있다가, 세종, 양녕, 효령 등 아들과 후궁과 그 자식들, 그리고 신하들이 애통해 하는 가운데 승하하였다. 태종의 능은 현재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위치한 헌릉이다. 원경왕후의 능과 함께 쌍릉으로 조성되어 있다. 

 

* 자료출처 : 위키피디아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