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구'에 해당하는 글 1건

 

1947년 3월 1일 제주도에서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남로당 중심의 봉기사태이며, 그로부터 한국전쟁이 끝난 후인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양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배경

 

제주도는 일제강점기부터 좌익계열 활동의 전통이 강했으며, 해방 후 제주도 인민위원회는 미군정청과 협조적이었다. 하지만 점차 미군정 관리들의 모리행위, 남로당 계열의 좌익세력들, 군정경찰, 서북청년단 등 극우 반공단체의 횡포에 제주도민들의 반감이 점차 일어났다.

 

 

사건정리

 

  • 1947년 3월 1일 - 3.1절 기념식에서 기마경관의 말발굽에 어린아이가 채여, 항의하는 시위군중에게 경찰이 발포해 6명 사망. 이 사건을 계기로 남로당은 제주도민들을 업고 조직적인 반경활동 전개.(삐라, 사상자 구호금 모금운동 등)
  • 1947년 3월 5일 '제주도 3·1사건대책 남로당 투쟁위원회' 결성.
  • 1947년 3월 10일 - 제주도청을 시작으로 민관 총파업 발생. 4만여명이 파업에 가세.
  • 1947년 3월 15일 - 경찰은 이 날부터 약 1년간 파업 주모자에 대한 검거작전을 전개. 가담자 연행, 구금, 고문이 자행됨.
  • 1948년 4월 3일 - 단선단정에 반대한다는 명분으로 남로당제주도지부의 김달삼 등 350여명이 무장을 하고 경찰서 및 경찰관, 서북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등 우익단체 요인들의 집을 습격.
    습격이 성공하자 도민과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인민유격대' 조직.
  • 1948년 10월 11일 - 대한민국 수립 이후 이승만 정부는 제주도 문제를 정권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하고 제주도경비사령부를 설치, 군 병력 증파.
  • 1948년 11월 17일 - 제주도에 계엄을 선포. 12월31일 계엄령이 해제될 때까지 90% 이상의 마을이 불에 타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 보금자리를 잃은 중산간마을 주민 약 2만 명이 산으로 들어가 무장대의 일원이 되는 결과를 초래.
  • 1949년 3월 2일 - 정부와 미국은 제주도지구 전투 사령부를 설치. 김용주 대령의 독립 유격대대를 투입하여 유격대의 잔존 세력을 일소하기 위한 최후의 총공세를 감행.
  • 1949년 6월 - 무장대 총책인 이덕구가 오라리에서 경찰의 발포로 사살되면서, 무장대 궤멸.
  • 1954년 9월 21일 - 한라산의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됨으로써 발발 이후 7년 7개월 만에 막을 내림.
  • 1999년 12월 26일 - 김대중 정부때 국회에서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통과.
  • 2000년 1월 12일 - 제정 공포되면서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 착수.
  • 2003년 10월 31일 - 노무현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국가권력에 의해 대규모 희생'이 이뤄졌음을 인정하고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

 

 

결과

 

제주 4·3 사건은 2만5천명 이상의 학살 피해자를 냈다. 한국전쟁 발발 당시 제주도민들은 좌파가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해병대에 자원입대하거나, 극우단체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대한해협을 건너 오사카 지역으로 피난을 갔기 때문에, 재일동포들의 출신구성을 보면 제주도민 출신(4·3사건)이 많다고 한다.

 

 

정리하자면,

 

이 사건은 제주도 경찰과 도민과의 마찰로 시작되었고,
단선단정에 반대하기 위해 남로당이 주도하여 도민과 함께 경찰 및 우익 단체들(미군,정부등)에 대항하였고,
그로 인해 정부에서는 무고한 도민들까지 좌파로 인식하고 대규모 양민을 몰살시킨 사건.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