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원'에 해당하는 글 6건

 

 

공양왕은 정몽주 마저 죽은 뒤 이성계가 자신을 해할 것이라 생각하여 신하인 시중 이성계와 동맹 맺을 계획을 세운다.
1392년(공양왕4년) 7월 공양왕은 이방원을 불러 이성계와 동맺을 맺으려 하니 맹세의 글을 받아오도록 지시한다.
이에 이성계는 "내가 무슨 말을 하겠느냐? 너희가 주상의 말씀에 따라 기초해 보도록 하라." 고 하자 다음과 같이 초안을 작성했다.

 

"경이 없었으면 내가 어찌 이 자리에 앉았겠는가? 그러니 경의 공덕을 내가 어찌 잊으랴? 하늘이 위에 있고 땅이 곁에 있으니 자손대대로 서로 해치는 일이 없을 것이로다. 내가 경을 저버리는 일이 있을 경우 이 맹세가 증거가 될 것이다."

 

 

이 초안을 왕에게 올리니, 왕이 좋다고 했다.
공양왕은 며칠뒤 이성계의 집에으로 가서 술자리를 마련하고 동맹식을 거행하려 했으나,
이미 우시중 배극렴 등이 의장대와 경호병을 데리고 왕대비 안씨에게 가서 다음과 같이 건의(강요)했다.
"현재의 왕은 용렬한 사람이라 군왕의 자격을 상실했고 인심마저 떠나 나라와 백성들의 주인이 될 수 없으니 그를 폐위시켜 주소서."
결국 공양왕은 계획했던 동맹도 맺지 못하고 왕대비의 시지에 따라 폐위가 결정되어 고려는 475년 만인 1392년에 결국 멸망하게 된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1392년(공양왕 4년) 명나라에서 돌아오는 세자(왕석)를 마중 나갔던 이성계가 사냥하다가 낙마하여 황주(黃州)에 눕게 되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고려 충신 정몽주는 이를 기회삼아 이성계 일파를 제거하기 위해 정도전, 조준 등 이성계 일파의 핵심 인사들을 모두 귀양을 보내지만 이방원이 이성계를 개성으로 돌아오게 하여 무산된다. 이방원은 이성계에게 정몽주를 제거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이성계는 이방원에게 정몽주를 자기 세력으로 끌어들일 것을 지시하였다.

 

정몽주는 문병차 이성계의 집을 방문하였는데, 이방원은 회유의 시조 <하여가>에 <단심가>로 거절한 정몽주를 제거하기로 결심하였다. 결국 정몽주는 귀가길에 이방원의 심복 조영규 등에게 선죽교에서 살해된다. 정몽주가 살해되기 전 귀가하며 친구 집에 들려 술을 마신 후 말을 거꾸로 탔는데 마부가 이유를 물으니,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몸이라 맑은 정신으로 죽을 수 없어 술을 마셨고 흉한이 앞에서 흉기로 때리는 것이 끔직하여 말을 돌려 탄 것이다." 라고 답하였다. 정몽주는 이성계의 집을 방문하기 전에 이미 변중량을 통해 이방원의 살해 계획을 입수하였다고 한다.

 

이성계는 이 사건으로 인해 아들 이방원에게 다음과 같이 책망하였다고 한다. "우리 집안은 본디 충효로 세상에 알려졌는데, 너희가 마음대로 대신을 죽였으니 나라 사람들이 내가 이 일을 몰랐다고 여기겠는가? 부모가 자식에게 경서를 가르친 것은 그 자식이 충성하고 효도하기를 원한 것인데 네가 이렇게 불효한 짓을 감히 하니 내가 사약을 먹고 죽고 싶은 심정이다." 이렇게 역성혁명을 저항하는 마지막 고려 충신 정몽주가 죽음으로써 이성계는 곧 정도전 등의 추대를 받아 조선을 건국한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정도전(1337~1398)은 고려 말기, 조선 초의 문신으로, 호는 삼봉(三峯), 시호는 문헌(文憲), 별칭은 해동장량이다.
조선의 개국공신이었고, 한성부의 각 전각과 궁궐의 이름을 지은 인물이다.
성정이 과격하고 온후함이 없어, 빼어난 재주에 비해 덕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신숙주는 그가 죽은 것은 운수소관이지만 건국공로에 있어 그를 능가하는 사람이 없다고 평하였다.
서인 성리학자로 정도전과 마찬가지로 군신공치의 이상을 견지했던 송시열마저 정도전을 언급할 때 '간신'이라는 말을 붙였다.

 

 

<고려시대>

 

  • 1360년(공민왕9) 과거 급제 후 성균관 등에 있으면서 이색을 스승으로 하여 성리학을 장려.
  • 동문인 포은 정몽주와 사상적, 정치적 동지로서 협력하며 절친이 됨.
  • 1383년(우왕9) 역성혁명을 위해 이성계를 찾아가 연을 맺고 참모가 됨.
  •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잡고 정몽주, 이성계 등과 함께 우왕과 창왕을 폐위시키고 공양왕을 추대.
  • 이후 전제개혁안을 두고 의견 대립이 생기면서부터 정몽주와 정적이 됨.

 

 

<조선 태조>

 

  • 공양왕의 선양을 이끌어 내고 이성계를 임금으로 추대하여 조선 건국의 일등 공신이자 최고 권력자가 됨.
  • 1394(태조3) 수도를 천도(개경->한양)하고 새 수도의 이름을 한성부로 고침.
  • 경복궁을 비롯한 서울시내의 전각과 거리의 이름을 직접 명명.
  • 사적으로 보유하던 사병을 모두 혁파하여 국가의 정규군으로 개편.
  • 신덕왕후 강씨 소생 방석 등을 세자로 추대.
  •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의 군사들에게 살해.

 

 

* 주요 저서
그의 경세론이 제시된 <조선경국전>, <경제문감별집>, <경제문감>.
숭유억불정책의 이론의 기초가 된 <불씨잡변>.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선죽교> - 북한 개성시 소재

 

 

1392년(공양왕 4) 조선 개국 전 이방원이 고려의 충신 포은 정몽주의 진심을 떠보고 그를 회유하기 위해 하여가라는 시조를 읊지만 정몽주는 단심가로 굳은 절의를 보여 끝내 이방원의 심복 조영규에게 선죽교에서 살해당한다. 정몽주가 죽은 돌틈에서 대나무가 솟아 그의 충절을 나타냈다는 전설이 있으며 후에 그 돌다리를 선죽교라 부르게 되었다.

 

 

* 이방원의 하여가(何如歌)

 

此亦何如彼亦何如 /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城隍堂後垣頹落亦何如 /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我輩若此爲不死亦何如 / 우리도 이같이 얽혀 백 년까지 누리리라

 

 

* 정몽주의 단심가(丹心歌)

 

此身死了死了一百番更死了 /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白骨爲塵土魂魄有無也 /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鄕主一片丹心寧有改理歟 /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제1차 왕자의 난

 

태조 7년(1398년) 음력 8월 태조의 이복 형제 간의 싸움. (방원의 난 / 무인정사 / 정도전의 난)

 

태조에겐 정비인 한씨(신의왕후: 6남) · 계비인 강씨(신덕왕후: 2남), 두 명의 정처가 있었다.
강씨의 집안 배경 및 강씨의 두터운 인맥과 지모의 도움으로 개국왕에 큰 바탕이 되어, 정비로 삼고 막내인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였는데 한씨의 5남 이방원 역시 부왕의 창업을 도와 공로가 큰지라 이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1398년(태조 7) 음력 8월 이방원은 정도전 일파가 비밀리에 모의하여 태조의 병세가 위독하다는 이유로 여러 왕자를 궁중으로 불러들여 한씨 소생의 왕자들을 살육하려 한다며, 방석 · 방번 · 정도전 일파를 살해했다.

 

태조가 왕위를 물려주는 과정에서 이방원은 야심이 없던 둘째형 이방과(정종)에게 왕의 자리를 양보하고, 아우들을 살해한 주동자로써의 책임을 떠맡기는 형국이 된다.

 

 

제2차 왕자의 난

 

정종 2년(1400년) 태조의 동복 형제 간의 싸움. (방간의 난 / 박포의 난)

 

1차 왕자의 난 이후 정종은 인격·공훈·위세가 방원에 미치지 못하여 항상 시기하고 의심하며 불안해 하고 있었다.
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난을 성공적으로 이끈 지중추(知中樞) 박포는 상작이 높지 못한데 불만을 품고 있었는데 넷째 이방간이 왕세제 자리를 넘보고, 박포와 손을 잡아 난을 일으켰지만 이 역시 이방원이 승리로 이끈 후 이방간을 유배시키고 박포를 처형하였다.
이후 이방원은 기반을 더욱 단단히 다졌으며, 아울러 2차 왕자의 난은 이방원의 왕위 계승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국 그 해(1400년) 음력 11월 정종에게 왕위를 넘겨받고 이방원은 조선의 제3대 왕(태종)이 된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