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에 해당하는 글 3건

하륜

History (Korea)/1392-1897 2014. 11. 14. 00:14

 

 

 

호정 하륜(1348년 1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은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이다.
태종의 최측근 인사이자 책사의 한 사람으로, 태종은 하륜을 자신의 장자방(장량)이라 했다.

 

초은 이인복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뒤이어 목은 이색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선배인 정도전, 정몽주, 조준 등을 만나게 되었다.
정몽주의 문하생 권근, 이인복의 동생 이인임과도 가까이 지냈고, 이인복은 하륜의 사람됨을 보고 동생의 딸과 결혼을 시켰다.
공민왕 말년부터는 신진사대부와 가깝게 지내다가 정도전 등의 권고로 권근 등과 함께 조선의 건국에 참여하였다.

 

하륜은 사람의 관상을 잘 보았는데 정안대군 이방원을 보고서 장차 크게 될 인물인 것을 알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정안대군의 장인 민제를 만나서 간청하여 이방원과의 만남이 이루어졌고 이후 그의 심복이 되었다.
정권을 잡게 되는 제1차 왕자의 난과 제2차 왕자의 난 당시 이방원의 최측근으로 실질적으로 계획하고 지휘했다.
제1차 왕자의 난에서 정도전이 남은의 첩의 집에서 술을 마신다는 정보를 입수, 정도전과 남은, 심효생 등을 불시에 습격하여 죽이고, 세자 이방석과 이방번을 제거했고, 제2차 왕자의 난에서는 박포 일당의 거병 계획을 미리 파악한 뒤 회안대군 이방간, 맹종 부자와 박포를 체포, 박포 일파를 죽이고 회안대군 부자를 유배시켰다.
태종 즉위 후 적서 차별, 호패법, 신문고, 저화(화폐) 사용 등을 건의, 불교를 비판하고 명나라에 자주 왕래하여 외교에도 공이 컸다.
후에 인사 청탁을 많이 받는다거나 정책을 태종과의 밀담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비판을 샀다.
 

 

  • 공민왕14년(1365) : 문과에 급제, 이인미의 딸과 결혼.
  • 공민왕17년(1368) : 감찰규정을 지내고 있을 때 신돈을 공박하다가 좌천/파직 됨.
  • 공민왕20년(1371) : 신돈이 사형당하자 복직되고 교주·강릉 도찰방에 오름.
  • 우왕6년(1380) : 성균관대사성으로 승진했으나 모친상을 당하여 관직에서 물러남.
  • 우왕9년(1383) : 어머니 3년 상을 마친뒤 복직.
  • 우왕11년(1385) : 명나라의 사신을 서북면에서 영접하는 일을 맡음.
  • 우왕14년(1388) : 최영의 요동 공격을 불가능하다며 적극 반대하다가 양주로 유배. 최영 처형 뒤 복직.
  • 공양왕3년(1391) : 전라도도순찰사가 되고 조선의 건국에 참여.
  • 공양왕4년(1392) : 고려가 멸망하자 관직을 사퇴하고 낙향하였으나, 이성계가 즉위 후 경기좌우도관찰사에 기용.
  • 태조2년(1393) : 한양 천도 적극 주장.
  • 태조4년(1395) : 부친상을 당하여 사직했으나 곧 기복되어 복직.
  • 태조5년(1396) : 명나라 홍무제가 표전물이 불손하다는 이유로 정도전을 소환하였는데, 대신 명나라에 들어가 해명.
    (이 과정에서 정도전으로부터 계림부윤으로 좌천되었다가 탄핵받고 파면, 수원부에 안치되었다가 복직, 충청도도순찰사가 됨)
  • 태조7년(1398) : 제1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운 공로로 문하우정승까지 승진.
  • 태조9년(1400) :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와 권력의 실세가 됨.
  • 정종2년(1400) : 이방원이 태종으로 즉위하자 진산부원군, 좌명공신 1등에 책록.
  • 태종1년(1401) : 관직을 사임했다가 다시 복귀. 문하생 윤회가 과거에 급제하여 적극적으로 후원.
  • 태종16년(1416) : 영의정부사까지 역임하고 노환을 이유로 치사 후 객사.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윤이·이초의 옥사, 윤이·이초 사건, 윤이·이초의 무고 사건.
고려시대 최후의 임금 공양왕 2년(1390)에 고려 무신 윤이(尹彛)와 이초(李初)가 이성계 일파의 정변을 막기 위해, 명나라 주원장에게 무고(거짓으로 보고함)한 사건이다.

 

- 공양왕과 이성계가 공모하여 명나라를 치려 한다.
- 이를 반대한 이색 등 고려 재상 19인이 살해/감금/유배 될 것이다.
- 공양왕은 종실이 아니라 이성계의 인친(姻親)이다.
- 이성계는 고려의 권신 이인임(李仁任)의 후손이다.

 

어색한 무고로 명나라로 하여금 시중 이성계를 없애려 하였지만, 이성계의 측근 정도전이 명나라로 가서 해명하며 사건은 일단락 되었다. 이성계와 정도전은 이 사건을 계기로 반대 세력인 고려 유신 10여명(목은 이색, 도은 이숭인, 양촌 권근, 인재 이종학, 우현보... )을 제거하려 하였지만 실패하였다.
고려 유신들을 청주 옥사에 하옥한 후 윤이와 이초 사건에 연루되었는지 조사하였으나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
결국 윤이와 이초만 유배시키고 사건이 마무리 되면서 모두 석방하였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정도전(1337~1398)은 고려 말기, 조선 초의 문신으로, 호는 삼봉(三峯), 시호는 문헌(文憲), 별칭은 해동장량이다.
조선의 개국공신이었고, 한성부의 각 전각과 궁궐의 이름을 지은 인물이다.
성정이 과격하고 온후함이 없어, 빼어난 재주에 비해 덕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신숙주는 그가 죽은 것은 운수소관이지만 건국공로에 있어 그를 능가하는 사람이 없다고 평하였다.
서인 성리학자로 정도전과 마찬가지로 군신공치의 이상을 견지했던 송시열마저 정도전을 언급할 때 '간신'이라는 말을 붙였다.

 

 

<고려시대>

 

  • 1360년(공민왕9) 과거 급제 후 성균관 등에 있으면서 이색을 스승으로 하여 성리학을 장려.
  • 동문인 포은 정몽주와 사상적, 정치적 동지로서 협력하며 절친이 됨.
  • 1383년(우왕9) 역성혁명을 위해 이성계를 찾아가 연을 맺고 참모가 됨.
  •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잡고 정몽주, 이성계 등과 함께 우왕과 창왕을 폐위시키고 공양왕을 추대.
  • 이후 전제개혁안을 두고 의견 대립이 생기면서부터 정몽주와 정적이 됨.

 

 

<조선 태조>

 

  • 공양왕의 선양을 이끌어 내고 이성계를 임금으로 추대하여 조선 건국의 일등 공신이자 최고 권력자가 됨.
  • 1394(태조3) 수도를 천도(개경->한양)하고 새 수도의 이름을 한성부로 고침.
  • 경복궁을 비롯한 서울시내의 전각과 거리의 이름을 직접 명명.
  • 사적으로 보유하던 사병을 모두 혁파하여 국가의 정규군으로 개편.
  • 신덕왕후 강씨 소생 방석 등을 세자로 추대.
  •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의 군사들에게 살해.

 

 

* 주요 저서
그의 경세론이 제시된 <조선경국전>, <경제문감별집>, <경제문감>.
숭유억불정책의 이론의 기초가 된 <불씨잡변>.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