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릉'에 해당하는 글 2건

 

단종(1441~1457, 재위 1452~1455)은 조선의 제6대 왕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이고, 휘는 홍위(弘暐)이다.

 

1441년 문종과 현덕왕후의 외아들로 태어났으나 몸이 약한 현덕왕후가 단종을 낳은 지 3일 만에 산욕으로 세상을 떠나고, 세종의 후궁인 혜빈 양씨의 보살핌 아래에서 성장하였다. 단종은 1448년 8살이 되던 해에 왕세손으로 책봉되었고, 세종은 조선 5대 왕 문종이 병약한 이유로 일찍이 황보인·김종서·성삼문·박팽년·신숙주 등에게 왕세손을 지켜줄 것을 부탁하였다. 1450년 단종은 문종이 즉위한 그 해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1452년 문종이 병으로 승하하며, 12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단종은 어릴 때부터 매우 영리하였으나 혼자서 나랏일을 결정할 수가 없었고, 점점 정국이 불안해진 가운데 위축된 왕권과 달리 세종의 둘째아들 수양대군 등 종친의 세력이 나날이 팽창되어 갔다.

 

단종이 즉위하고 1년 만인 1453년 10월 수양대군은 한명회·권람 등과 공모하여 홍윤성·홍달손 등의 병력을 동원함으로 문종의 고명을 받아 단종을 보필하던 황보인·김종서·정분 등을 죽이는 계유정난을 일으키게 된다. 곧이어 아우 안평대군을 강화도에 유배, 사사시키며 정권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수양대군이 실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왕의 측근인 금성대군 이하 여러 종친·궁인 및 신하들을 모두 죄인으로 몰아 각 지방에 유배시켰다.

 

1455년 단종은 한명회·권람 등의 강요에 못이겨 수양대군(세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되었다.

 

1456년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응부·유성원 등이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동모자인 김질의 고발로 발각되어 모두 처형된 후 단종도 이 사건에 관련지어 1457년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다. 그리고 수양대군의 동생인 금성대군이 다시 경상도 순흥에서 복위를 도모하다가 발각되어 사사되자 단종은 노산군에서 다시 강등이 되어 서인이 되었으며, 계속해서 자살을 강요당하다가 1457년(세조 3) 영월에서 죽었다. 사람들은 화가 미칠까 두려워 시신을 방치했고 그 지역 호장으로 있던 엄흥도는 관을 비롯한 장례 기구 일체를 혼자서 마련하여 정중하게 장사를 치른 후, 벼슬을 내놓고 숨어 살았다.

 

단종복위운동을 하다가 죽음을 당한 이개, 하위지, 유성원, 성삼문, 유응부, 박팽년 등의 6명을 사육신(死六臣)이라 하고,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분개하여 한 평생을 죄인으로 자처한 이맹전, 조여, 원호, 김시습, 성담수, 남효온 등 6명을 생육신(生六臣)이라 한다.

 

단종의 억울한 죽음과 강봉은 200여 년 후인 1681년(숙종 7) 신원되어서 대군에 추봉되었으며, 1698년(숙종 24) 임금으로 복위되어 묘호를 단종이라 하였다. 능은 단종이 목숨을 끊은 강원도 영월의 장릉(莊陵)이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영월 여행

Daily/Diary 2012. 8. 25. 23:30

단종, 김삿갓, 동강하면 생각나는 고장 영월.
새벽같이 부지런을 떨어 고속도로가 시원하게 뚫려 있을 시간에 영월로 고고싱~
하늘의 도움으로 비 한방울 맞지 않고 여행을 시작한게 정말 다행.


시작은 한반도의 모습을 닮은 선암마을 한반도지형.(010-***-**** 로 전화하면 뗏목 체험 가능.)
주차장서부터 산책로를 따라 15분 정도를 걸어 올라가면 이 아름다운 경관이...
선돌은 3분이면 ok. 

 


고씨굴은 임진왜란 때 왜병과 싸운 고씨들이 한 때 이 굴로 피신을 했다고 하여 고씨굴이라는데
천연기념물 치고는 연유나 이름이나 초큼 이해하기 어렵지만, 그냥 그러려니 해야지...
다른 굴들에 비해 폭포처럼 쎈 물살들이 흐르는게 인상적이었음. 소요시간은 40분 정도.

 

 


금강산도 식후땡.
곤드레밥, 막국수, 된장찌개. 사진찍으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보다시피...


그리고 이동한 영월의 은행나무. 이 은행나무 정말 크다.
최소 1000년은 지났다고 쓰여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나무라고.
이 은행나무에서 만난 할아버지는 1년에 꼭 두 번씩 이 나무를 찾아오셔서 둘러보신다고.
나에게 이 말씀하신 의도는 아직 모르겠음.
난 집에서 너무 먼 관계로 다음을 기약하기는 조금 무리가...


단종의 장릉과 청령포는 화창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곳곳에 슬픔이 묻어 있는 듯한 느낌에 숙연해 질 수 밖에 없었다고 해야 하나.
그리고 청령포에서 약 40미터 앞에서 뛰어가는 노루를 봤음. 나만 봤음. 아무도 보지 못하였기 때문에 아무도 믿지 않음.
네이버에도 그곳에서 노루를 봤다는 이는 없고...

 

 

 

 

연하계곡은 정말 일반적인 계곡들과 비슷한 크기지만 엄청난 수압과 물의 맑기는 정말 타의 추종을 불허할 듯.
맑다 못해 물이 파란색...
연하계곡까지 1.5km 정도 인데 도보로 가야 하나, 자동차로 올라가야 하나 고민중에,
스스럼 없이 올라가는 자동차 한대를 목격하고 뒤따라 오름. 길이 좁아서 맞은편에 차 마주치면 대략 난감.
후진하다가 시동꺼지고 브레이크가 들지 않아 계곡에 추락할 뻔한 것 빼고 다 좋았음.

 

 


마무리는 꽃살로다가...


천문대, 어라연, 김삿갓은 시간 관계상 pass.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