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에 해당하는 글 4건

 

 

 

 

원천석(元天錫, 1330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문인이다. 본관은 원주, 자는 자정(子正), 호는 운곡(耘谷), 원주 원씨의 중시조이다. 두문동 72인중 1인이며, 태종의 어릴적 스승이었지만, 즉위 후에는 벼슬을 거절한다.

 

고려의 수절신으로 추앙받는 운곡 원천석은 고려 충숙왕 17년(1330년) 7월 8일 원주 원씨 시조인 원경(元鏡)의 19대손인 원윤적(元允迹)의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재명(才名)이 있었으며, 문장이 여유있고 학문이 해박하여 진사가 되었다. 일찍이 이방원(태종)의 스승이 되었으며, 고려가 망하고 이성계 일파가 정권을 쥐자 두임금을 섬길 수 없다하여 벼슬을 내놓고 강원 원주땅의 치악산(稚岳山)으로 숨어서 젊은이들을 지도했다. 태종이 즉위한 후 그를 기용하려고 자주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갔으나 미리 소문을 듣고는 산속으로 피해버렸다. 계속 도를 지키고 학문에 힘쓰다가 세상을 떠났다.

 

태종은 계석(溪石)에 올라 집 지키는 할머니를 불러 선물을 주고 원천석의 아들 '형(泂)'을 기천(지금의 영주) 현감으로 임명하였는데, 추세 사람들이 그 계석을 태종대(太宗臺)라 하였고 지금도 치악산 각림사 절에 있다.

 

시조로는 망한 고려 왕조를 회고한 것으로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 년 왕업이 목적에 부쳤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겨워 하노라." 라는 <회고시> 1수가 전해온다. 그는 또 만년에 <야사> 6권을 저술하고 "이 책을 가묘에 감추어두고 잘 지키도록 하라."고 자손들에게 유언하였으나 증손대에 이르러 국사와 저촉되는 점이 많아 화가 두려워 불살라버렸다고 한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세종(1397~1450, 재위 1418~1450)은 조선의 제4대 왕이다. 성은 이(李), 휘는 도, 본관은 전주, 사후 묘호는 세종(世宗)이다.
재위 기간 동안 과학∙경제∙국방∙예술∙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찬란한 업적을 많이 남겨 위대한 성군(聖君)으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세종은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삼남으로 태어났고 어려서부터 독서와 공부를 유독 좋아하였다.
1418년 태종은 황희 등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첫째(양녕대군)의 심각한 비행을 이유로 왕세자에서 폐위시킨다.
뒤이어 셋째 충녕대군(세종)을 왕세자로 책봉하고, 충녕대군은 1418년 조선의 제4대 임금 세종으로 즉위한다.

 

태종의 노여움을 사서 유배되어 있던 황희는 세종의 외숙부들을 죽음으로 몰고 세종의 세자 책봉을 반대했지만 세종은 그의 사람됨이 바르다는 것을 알고 중용한다. 세종은 황희, 맹사성, 윤회 세 정승에게 조정의 대소사, 국방 업무는 김종서에 위임하였고 내각 중심 정치제도인 의정부 서사제의 효시가 되었다. 그 외에도 신분을 가리지 않고 유능한 인재를 많이 등용하여 깨끗하고 참신한 정치를 펼쳐 나갔다.

 

집현전을 설치하고, 1443년 신숙주(申叔舟), 성삼문(成三問), 박팽년(朴彭年), 정인지(鄭麟趾), 정창손(鄭昌孫), 이개(李塏) 등의 집현전 학사들에게 명하여 3년여의 연구 끝에 훈민정음을 친히 창제하여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하였다. 훈민정음은 20세기에 들어 주시경 선생에 의해 한글로 정리되고 발전되었다. 또한 정인지, 정초, 이천, 장영실 등에게 명하여 각종 천문 관측 기구와 시계, 측우기 등 백성들의 생활과 농업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과학 기구를 발명하게 하였다.

 

국방 정비 면에서는 1419년 이종무 장군 등에게 명하여 대마도에서 왜구를 정벌하고 조선과의 무역을 허락하여 삼포를 개항했다. 이 후 오랫동안 왜구의 침입이 없어졌다. 1433년에는 최윤덕, 김종서 장군등의 여진족을 토벌을 지시하고, 평안도의 4군(四郡)과 함길도의 6진(六鎭)을 개척하게 하여 영토가 두만강 및 압록강 유역으로 확대되었다.

 

문종과 수양대군(세조), 안평대군, 금성대군 등의 자식이 있으며, 1442년부터 1450년 붕어할 때까지 아들 문종이 왕세자 신분으로 대리청정을 하였다. 세종은 죽어서도 부왕인 태종의 곁에 있고자 하였으나 풍수지리에 좋지 않다는 이유로 손자인 예종 때에 경기도 여주로 이장되었고 능 이름은 영릉이다.

 

자신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비롯하여 정인지·권제의 <용비어천가>, 정초·변계문(卞季文)의 <농사직설>, 정인지·김종서의 <고려사>, 설순(楔循)의 <삼강행실도>, 윤회·신장의 <팔도지리지> 등 각 분야의 서적을 편찬하였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제1차 왕자의 난

 

태조 7년(1398년) 음력 8월 태조의 이복 형제 간의 싸움. (방원의 난 / 무인정사 / 정도전의 난)

 

태조에겐 정비인 한씨(신의왕후: 6남) · 계비인 강씨(신덕왕후: 2남), 두 명의 정처가 있었다.
강씨의 집안 배경 및 강씨의 두터운 인맥과 지모의 도움으로 개국왕에 큰 바탕이 되어, 정비로 삼고 막내인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였는데 한씨의 5남 이방원 역시 부왕의 창업을 도와 공로가 큰지라 이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1398년(태조 7) 음력 8월 이방원은 정도전 일파가 비밀리에 모의하여 태조의 병세가 위독하다는 이유로 여러 왕자를 궁중으로 불러들여 한씨 소생의 왕자들을 살육하려 한다며, 방석 · 방번 · 정도전 일파를 살해했다.

 

태조가 왕위를 물려주는 과정에서 이방원은 야심이 없던 둘째형 이방과(정종)에게 왕의 자리를 양보하고, 아우들을 살해한 주동자로써의 책임을 떠맡기는 형국이 된다.

 

 

제2차 왕자의 난

 

정종 2년(1400년) 태조의 동복 형제 간의 싸움. (방간의 난 / 박포의 난)

 

1차 왕자의 난 이후 정종은 인격·공훈·위세가 방원에 미치지 못하여 항상 시기하고 의심하며 불안해 하고 있었다.
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난을 성공적으로 이끈 지중추(知中樞) 박포는 상작이 높지 못한데 불만을 품고 있었는데 넷째 이방간이 왕세제 자리를 넘보고, 박포와 손을 잡아 난을 일으켰지만 이 역시 이방원이 승리로 이끈 후 이방간을 유배시키고 박포를 처형하였다.
이후 이방원은 기반을 더욱 단단히 다졌으며, 아울러 2차 왕자의 난은 이방원의 왕위 계승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국 그 해(1400년) 음력 11월 정종에게 왕위를 넘겨받고 이방원은 조선의 제3대 왕(태종)이 된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태조 이성계(1335~1408)는 고려 말의 무신이자 조선의 초대 왕(1392~1398)이다.
성(姓)은 이(李), 본관은 전주, 휘는 단(旦), 초명은 성계(成桂), 초자는 중결(仲潔), 자는 군진(君晋), 호는 송헌(松軒)·송헌거사(松軒居士)이다. 원나라 쌍성총관부에 속해있던 함경도 영흥 흑석리에서 환조 이자춘과 의혜왕후 최씨의 적자로 태어났고, 아버지 이자춘은 원나라의 다루가치를 지내다가 원나라가 쇠퇴하자 고려에 귀화했다.

 

고려 공민왕(1356: 공민왕5)때부터 수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우며 변방의 무명 장수에서 일약 고려 제일의 장수가 되었다.
계속되는 승전은 백성들의 신망을 받게 되었고, 그에 따라 벼슬도 올라갔다. 군사력을 갖춘 신망받는 이성계에게는 자연히 신진사대부들이 몰려들었고, 이론과 정치적 연고가 부족하던 그는 신진사대부와 연대하여 정몽주, 정도전, 이색, 성석린, 최영, 조민수 등과 결속력을 다져나갔다.

 

1388년 2월 명나라가 철령(강원도 안변) 이북의 땅을 점령하겠다는 통고를 하자 최영은 반발했고 이성계와 신진사대부는 명나라의 요청을 받아들이자고 하였다. 최영과 우왕(1388년)은 명나라 기지인 요동 정벌을 주장했지만, 이성계는 4불가론을 내세우며 반대하였다.
결국 1차 요동정벌이 단행되었고 이성계는 위화도에서 개경으로 회군하여 우왕을 폐위하고 최영을 제거하여 군사적 실권을 장악한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위화도 회군은 조선왕조가 개창되는 단초를 이룬 사건이며, 정도전 · 정몽주 등의 적극적인 찬성과 지지 덕에 내부 반발을 무마할 수 있었다.

 

위화도 회군 이후 정도전 등의 역성혁명파(급진개혁파)를 이끌고 신 왕조를 수립할 계획(쿠데타)을 세우자, 고려에 충성하던 이색, 정몽주는 이성계의 적(온건개혁파)이 된다. 정도전을 통해 이색과 정몽주 등의 구세력들을 하나둘 탄핵하여 조정에서 축출하였고, 정몽주는 이성계를 제거하려다 다섯째 아들 이방원의 심복 조영규에게 선죽교에서 타살된다.
이성계는 정도전 등의 추대를 받아 1392년 음력 7월 17일에 송경(松京.개성) 수창궁(壽昌宮)에서 공양왕으로부터 선위(禪位) 받는 형식으로 왕위에 올라 개국하였다. 처음에는 민심의 동요를 염려하여 국호는 그대로 고려로 두었으나, 1393년 음력 2월 15일 조선(朝鮮)이라 고쳤다. 명나라에 책봉을 청하는 사신을 보냈지만 명나라의 홍무제는 그를 정식 국왕으로 봉하지 않고 권지고려국사라는 직책을 내린다.

 

이성계를 지지한 신진사대부는 수많은 사람들을 죽게하고, 유능한 관리들로 하여금 벼슬길을 버리고 은둔생활을 하게 만들었다.
고려 왕족 왕씨 일가를 배에 태운 후 강화도에서 배를 난파시켜 몰살시켰고, 특히 두문동의 72현을 비롯하여 고려의 유신들에게 개국공신과 그에 상응하는 개국원종공신의 지위를 내렸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거절하고, 낙향하거나 산으로 숨어버린다. 두문동에 모여 있던 고려의 옛 신하들이 마을에 불을 질렀는데도 한 사람도 나오지 않고 모두 타죽었다는 이야기는 당시 새 왕조에 대한 반감이 어느정도로 심했는가를 알게 해주는 일화이기도 했다.(두문불출)
결국 태조는 지역의 민심과 사상적 기반을 달리 해야 될 필요가 있다는 정도전의 건의를 받아들여 도읍지 천도와 국교(國敎)를 불교에서 유교로 개정할 결심을 한다. 1394년(태조 3년) 8월 태조는 왕씨의 본거지인 개경을 버리고 한양으로 천도를 명령했다.(지금의 경복궁)

 

태조는 조선의 3대 기본 정책을 내세워 건국이념으로 삼아 조선 왕조의 기반을 튼튼히 하였으니,
정치적으로는 명나라를 종주국으로 삼고 국호 및 왕위의 승인을 받아 양국의 친선을 도모하며, 그밖에 다른 나라와 교린하는 사대교린정책을 썼고, 문화적으로는 숭유배불(崇儒排佛) 정책으로 고려 말기의 부패한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건국이념으로 세웠으며, 경제적으로는 농본주의 정책으로 농업을 장려하고 전지(田地)를 개혁하여 농본민생주의에 따른 신분·사회 제도를 확립하였다.

 

태조에게는 정비인 신의왕후 한씨 소생의 여섯 왕자와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 소생의 두 왕자가 있었는데, 그 가운데 강씨 소생의 막내아들 방석을 몹시 사랑하여 세자로 책봉했다. 한편 조선 개국에 공이 컸던 한씨 소생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의 불만이 쌓였다. 이방원은 정도전 일파가 방석을 끼고 자신들을 해치려 한다는 이유를 들어 정도전 일파와 강씨 소생 왕자들을 살해했다.(1차 왕자의 난)

 

태조는 이방원에 매우 분개하였으며 왕위를 둘째 아들 방과(정종)에게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함경도로 들어간 채 돌아오지 않으므로 태종이 차사(差使)를 보내어 돌아오기를 권유하니, 차사마저 돌려보내지 않고 죽였다는 전설이 있어 함흥차사란 말이 생겨났다. 함흥에 있는 태조를 등에 업고 조사의가 방석의 원수를 갚기 위해 난을 일으키지만(1402년) 실패하고 태조는 뒤에 자초 무학대사가 가서 겨우 서울로 오게 하였다. 
만년에 불교에 전념 하다가 창덕궁 광연루 별전에서 74세로 승하하였고, 능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의 건원릉(建元陵)이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