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업'에 해당하는 글 2건

웃픈 tomcat 서버

Daily/Prog 2019. 8. 6. 20:55



오늘의 웃픈 에피소드.


회사에는 구성원이 있고 그들의 역할도 있고 그에 따른 책임도 있고 단계도 절차도 있다. 그것은 때로는 많은 사람들을 피곤하게 하고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비효율적일 때도 있다. 나에게도 이런 상황이 닥쳤지만 이 상황을 효율적으로 바꾸려면 그들이 똑똑해지거나 그들의 역할을 누군가가 도와주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그들이 하루 아침에 똑똑해질 수는 없고 그들의 역할에 내가 침범하면 불쾌해 할 것이다. 그래서 난 그냥 비효율적으로 있기로 했다.


개발서버가 필요했다. 필요한건 tomcat 밖에 없었다. 어딘가에게 요청했다. 이 어딘가는 앞으로 열심히 서버를 만들, 서버 전문가가 되려고 준비하는 집단이다. 곧 ip 와 pem 키가 전달됐다.


putty 접속을 했는데 user 가 centos. 갑자기? 5년 동안 amazon 이나 ubuntu 만 썼었는데 갑자기 centos7 이라... 뭐 tomcat 만 쓰면되니 상관없지. 


server.xml 설정하려는데 뭐꼬 파일 어데갔노. 검색해보니 centos 홈디렉토리에다가 tomcat 을 바이너리 설치해놨네... ㅋㅋ (여기서 살짝 당황) 뭐 돌아가기만 하면 되니.


근데 뭔가 이상... 버전을 보니 tomcat7 두둥~. 이게 머하자는... 뭐 tomcat7 을 써도 되지만 굳이? 서버 관리자들이란 지들이 만드는거에 태클거는거를 좋아하지 않지만 그래도 이것만은... 정중하게 부탁했다. tomcat8 깔아줘요잉~ 곧 피드백이 왔다.


server.xml 바꾸고 톰캣 재부팅하려고 하는데 바이너리 설치해놔서 아무것도 되는게 없음. /etc/init.d, chkconfig, service, (아.. 아재...ㅋㅋ) 여기부터 슬슬 짜증이 났음. (패키지 설치했으면 끝날일을 더럽게 귀찮게 하네...)


tomcat.service 만들고 구동 user 를 tomcat 으로 지정하는 순간이 바로 삽질의 시작.


# systemctl start tomcat

Job for tomcat.service failed because the control process exited with error code. See "systemctl status tomcat.service" and "journalctl -xe" for details.


# systemctl status tomcat

Process: 14 ExecStart=/home/centos/tomcat8/bin/startup.sh (code=exited, status=203/EXEC)

tomcat.service - Apache Tomcat Web Application Container

Loaded: loaded (/etc/systemd/system/tomcat.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disabled)

Active: activating (auto-restart) (Result: exit-code) 


systemd[1]: Starting Apache Tomcat Web Application Container...

systemd[1]: tomcat.service: Control process exited, code=exited status=203

systemd[1]: Failed to start Apache Tomcat Web Application Container.

systemd[1]: tomcat.service: Unit entered failed state.

systemd[1]: tomcat.service: Failed with result 'exit-code'.


# journalctl -xe

tomcat.service: Failed at step EXEC spawning /home/centos/tomcat8/bin/startup.sh: Permission denied


응?? 웬 퍼미션 문제. tomcat 홈디렉토리는 tomcat 이 소유자였고 bin 디렉토리의 명령어들 역시 실행 권한이 주어져 있었다. 음... 뭐가 문제일까. 일단 권한 문제가 없는 것은 확인했고 저 203 code 의 에러가 몹시 거슬렸다. 검색해 보니 java 버전 확인과 실행 권한을 주라는 말이 대부분이었다. 일단 생성한 tomcat.service 파일을 꼼꼼히 봤다. 모든 경로, 모든 설정이 문제 없었다.


여기서 갑자기 든 생각. 이미 root 권한으로 생성된 webapps 디렉토리, log 파일들이 구동시 권한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생각에 그것들도 다 삭제했다. 하지만  이놈에 tomcat 은 실행될 생각이 없다.


tomcat user 를 root 로 바꾸니 정상구동. tomcat 으로 바꾸면 에러. 어짜피 해볼만한건 이제 다해봤고 바이너리 설치니 디렉토리를 다른데로 옮겨보자 안되면 재설치하고... 그러고 /usr/local 로 옮겼는데 두둥!!! 된다!!! 뭔데 이거. 다른 사용자 디렉토리에 톰캣 설치한게 문제였던거야.


아니 의심은 했는데, 사용자 디렉토리에 톰캣 풀어논거 보고 어이가 없긴 했는데, 권한만 주면 문제없을꺼라고 생각한 내가 문제인건가? 지금도 너무 어이없음. 내가 초보자 된 느낌. 이것저것 다해서 총 6시간 삽질. 일단 되는건 봤고 너무 지저분해져서 똑같은 os 이미지로 구동시켜서 tomcat 서버 하나 만들어봤다.


yum update

yum search java-1

yum install java-1.8.0-openjdk

yum install wget

wget https://harbottle.gitlab.io/harbottle-main/7/x86_64/harbottle-main-release.rpm

rpm -Uvh harbottle-main-release.rpm

yum install tomcat8


10분 걸렸으려나... 이렇게 해줬으면 이미 끝났을 일을 가지고... ㅂㄷㅂㄷ. 이렇게 줘놓고 너희들은 편하게 쉬고 있었겠지. 후아~ 다음번 서버 요청할게 더 무섭다. 위처럼 타이핑 할 명령어들까지 전달을 해줘야 하나. 그런거야??


그래도 이런 이상한 세팅 때문에 6시간 동안 하나 배웠다. 다른 사용자 디렉토리에서 톰캣은 구동되지 않는다는 사실. 죽기전에 한번 써먹을 데가 있으려나...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협업의 기술

Daily/Prog 2015. 2. 1. 00:52




제목은 협업의 기술이지만 그것보다는 리더로서의 올바른 역할을 보았는데 메모한 것은 개발자로서의 사회생활?



소스 코드 오픈하기
누군가 내 소스 코드를 보고 나를 판단하려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자.
초기 단계에 더 많은 피드백을 얻을수록 더 많은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팀과 소통하기
코드 작성에 집중하기 위해 방해받지 않는 시간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을 팀과 소통하는 데 할애해야 한다.


실패를 문서로 (Postmortem)
실수나 실패를 적절히 문서로 만들면 나 또는 다른 사람이 같은 실수를 반복할 확률이 적어진다.
(요약 / 현상에 대한 시간적 서술 / 발생원인 / 영향 및 피해 / 해결방법 / 재발 방안 / 배운점) 


팀 문화 만들기
가장 성공적인 팀 문화는 팀의 노력을 통해 훌륭한 소프트웨어를 출시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이다.
생산적이고 건전한 팀 문화를 만들어 훌륭한 코드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자신의 문화를 팀에 정착시키려는 자로부터 팀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아주 중요하다.


오픈 프로젝트
이 팀의 구성원이라면 프로젝트의 모든 정보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 팀과 함께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주요 의사소통 메커니즘에 대해서도 생각해 본다.


사명(목표)
"GWT 의 목표는 근본적으로 개발자가 자바 도구를 이용, 모든 현대 브라우저에서 사용 가능한 AJAX 기법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웹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 과 같이 방향과 범위의 제한이 명확한 사명이 필요하다.
사명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모든 일이 올바르게 진행되도록 이끈다.


능률적인 회의
회의는 꼭 필요한 인원만 참여하고, 회의 안건을 참석자에게 미리 배포, 모두의 업무가 중단되는 시간 위주로 일정을 잡는다.
일방적이거나 메일 등으로 전파가 가능한 정보라면 회의를 주저없이 취소해야 한다.


디자인 문서
아주 간단한 프로젝트가 아니라면 디자인 문서가 나오기도 전에 코딩부터 무작정 시작하지 않도록 한다.
일단 디자인 문서가 확정되면 일정 조율과 프로젝트의 업무 분배에 대한 좋은 가이드가 될 수 있다.
프로젝트가 성장하고 변화하는 만큼 이 문서 역시 몇번이고 수정되어야 함을 언제나 인식한다.


헌신적인 리더
리더는 겸손과 존중, 그리고 신뢰가 공존하는 분위기 형성에 항상 주력해야 한다.
명확한 목표로 팀을 이끌어야 하며, 구성원의 행복도 관찰하여 팀 구성원이 이상적인 위치에 도달하게 해야 한다.


적게 약속하고 더 많이 주자
사용자들이 앞으로 구현할 기능이나 릴리즈 시점을 묻는다면, 완전히 보수적으로 예측해야 한다.
엔지니어로서 릴리즈에 모든 에너지를 집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코드 정리나 리팩토링 같은 방어적인 업무에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가는 곤란한 상황을 맞이할 것이다.

 

유지 보수
소프트웨어는 나를 위해 만든 것이 아니다.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또 즐거워 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나오는 사용자의 요구사항들은 좋은 소프트웨어를 만들수 있는 기회이다.
사용자가 없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싶지 않다면 이 부분을 유념해야 한다.

 

모든 기능을 제공할 수는 없다.
소프트웨어가 사용자를 위해 너무 많은 것을 제공하려고 하다 보면 배가 산으로 가는 수가 있다.
모든 문제를 형편없이 해결하느니, 대부분의 사용자가 겪는 정말 일반적인 문제들을 잘 풀어야 한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