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10'에 해당하는 글 4건

윈도우에서 MinGW64 를 주로 사용했는데 가끔을 명령 프롬프트가 필요할 때도 있다. CMD 시작할 때는 늘 경로 이동이 귀찮아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에 CMD 를 추가하는 방법을 찾아 설정해 보았다.

 

 

  1. regedit 열기 (레지스트리 편집기)

  2. 컴퓨터\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 로 이동

  3. shell에 새 키 생성 : opencmd
    - (기본값) : 현재 폴더에서 CMD창 켜기
    Icon cmd.exe

  4. opencmd에 새 키 생성 : command
    - (기본값) : cmd.exe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슬랙 PC 알림

Tip/Windows 2020. 11. 9. 12:58

슬랙의 알림 설정이 누군가에게는 참 성가시다. 누구는 알림이 왔다그러고 누구는 안왔다그러고...

설정의 알림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조금 디테일 하긴 하다. 

근데 문제는 PC에서 제대로 알림 설정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알림이 오지 않을 때...


그럴때의 해결책을 [File]-[Preferences]-[Notifications] 에서 발견했다.




 Looks like there might be an issue with your notifications 


저 경고가 고정으로 박혀 있는 것인줄 알았는데,

현재의 내 시스템을 체크하고 안내하는 것이다.


  • [설정]-[시스템]-[알림 및 작업] 에서 슬랙 알림 활성화
  • [설정]-[시스템]-[집중 지원] 을 해제 (Focus Assist)


하면... 바로 슬랙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위 그림의 [Show an Example] 을 클릭하여 즉시 테스트 해 볼 수 있다.


간단하게 작업표시줄 가장 우측의 [알림 센터] 에서도 쉽게 설정이 가능하다.




집중 지원의 [자동 규칙] 에 따라 집중 지원이 자동으로 켜질 수 있으니 자동 규칙도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아마도 슬랙 뿐 아니라 알림에 관련된 모든 앱들에 적용될 것이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Minikube 설치를 마친 후 실행만 해주면 쿠버네티스를 맛볼 수 있다. 실행 명령어는!


 > minikube start 



타 프로그램들은 어떻게든 설치를 하고 나면 실행 과정에서 오류가 나는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Minikube 는 설치가 잘되더라도(바이너리 파일을 갖다 쓰는 정도이니 설치랄 것도 없지만) 이 Minikube 가 실행되기 까지 많은 설정들이 필요할 수도 있다. 시스템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Minikube 를 VM 에서 실행하려면 하이퍼바이저가 필요하며, VM 에서 실행하지 않으려면 Linux 시스템과 docker 가 필요하다. 하이퍼바이저(Hyperviser) 란 VirtualBox 나 VMware, Hyper-V 같이 물리적인 호스트에서 다수의 가상머신(VM) 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CPU, 메모리, 네트워크 대역폭 등의 컴퓨팅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이다. Windows 에서 Minikube 를 실행하려면 리눅스 환경이 필요하므로 하이퍼바이저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이퍼바이저의 구동 환경 역시 까다롭다. 대부분의 하이퍼바이저는 CPU 가 가상화(indel: VT-x / amd: AMD-v) 를 지원해야 하고 컴퓨터의 Bios 에서 가상화(Virtualization) 같은 가상화 관련 항목이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한다. 참고로 지금 내가 사용중인 Windows 10 에서, Home 에디션을 제외하고는 hyper-v 가 설치되어 있으며, Docker Desktop 을 설치하여 hyper-v 를 활성화 시키거나 수동으로 Powershell 에서 활성화를 시켜 따로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지 않고 진행하였다.



Minikube 실행 전 준비사항

1. CPU 가상화 지원 (체크: SecurAble) 및 Bios 가상화 활성화 확인

2. 하이퍼바이저 설치 (VirtualBox, hyper-V, KVM 등)

3. Minikube 실행시 해당 하이퍼바이저 명시 (default: virtualbox)



오류 메시지


만약 가상화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하는 오류 메시지를 나타내며 실행을 중지한다. 아래는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했지만 명시하지 않아 default 하이퍼바이저인 virtualbox 가 없다는 오류 메시지이다.


C:\Windows\system32> minikube start

o   minikube v0.35.0 on windows (amd64)

>   Creating virtualbox VM (CPUs=2, Memory=2048MB, Disk=20000MB) ...

@   Downloading Minikube ISO ...

 184.42 MB / 184.42 MB [============================================] 100.00% 0s

!   Unable to start VM: create: precreate: VBoxManage not found. Make sure VirtualBox is installed and VBoxManage is in the path


아래는 로컬에 활성화 되어 있는 Hyper-V 를 명시했지만 외부 가상 스위치가 없다는 오류 메시지이다.


C:\Windows\system32> minikube start --vm-driver=hyperv

o   minikube v0.35.0 on windows (amd64)

>   Creating hyperv VM (CPUs=2, Memory=2048MB, Disk=20000MB) ...

!   Unable to start VM: create: precreate: no External vswitch found. A valid vswitch must be available for this command to run. Check https://docs.docker.com/machine/drivers/hyper-v/


Hyper-V 관리자에서 [가상 스위치 관리자...] 를 클릭하여 Minikube 에 사용할 외부 네티워크 스위치를 생성한다.



다른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할 때도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면 위처럼 메시지를 보고 해결하면 될 것이다. 



정상 동작


C:\Windows\system32>minikube start --vm-driver=hyperv

o   minikube v0.35.0 on windows (amd64)

>   Creating hyperv VM (CPUs=2, Memory=2048MB, Disk=20000MB) ...

-   "minikube" IP address is 192.168.10.163

-   Configuring Docker as the container runtime ...

-   Preparing Kubernetes environment ...

@   Downloading kubelet v1.13.4

@   Downloading kubeadm v1.13.4

-   Pulling images required by Kubernetes v1.13.4 ...

-   Launching Kubernetes v1.13.4 using kubeadm ...

:   Waiting for pods: apiserver proxy etcd scheduler controller addon-manager dns

-   Configuring cluster permissions ...

-   Verifying component health .....

+   kubectl is now configured to use "minikube"

=   Done! Thank you for using minikube!


C:\Windows\system32>minikube status

host: Running

kubelet: Running

apiserver: Running

kubectl: Correctly Configured: pointing to minikube-vm at 192.168.10.163


정상적으로 시작이 되었다면 VM 에 minikube 가 구동되고 있을 것이다. ㅊㅋㅊㅋ!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4년만인가 최신 컴퓨터를 받은게. i7 8세대 3.2GHz 에 32기가 메모리... 오마오마하당. 문제는 이게 아니구...

4명이 나란히 앉아서 Windows 10 을 설치하고 git(tfs) 을 연동하는데 1명은 잘되고 나머지는 다 인증 실패


$ git clone https://tfs.blahblah.com:444/git/project1

fatal: Authentication failed for https://tfs.blahblah.com:444/git/project1


"바보들 당연히 git config 에 user 정보 넣어야지." 라고 말했지만, 결과는 같았다. 

"--global 옵션도 줘야돼." 라고 말했지만, 결과는 같았다. 끼윰~

아이디랑 패스워드를 입력했는데 인증에 실패했다니... URL 에 강제로 박아봐도 실패! 실패!! 실패!!!

방화벽 때매 URL 에 접속이 안되나 했더니 브라우저로는 인증이 잘만 된다. ㅡㅡ;;

구글로부터 찾은 해결 방법은...


[제어판] - [사용자 계정] - [자격 증명 관리자] - [Windows 자격 증명] - [일반 자격 증명 추가]

git:https://tfs.blahblah.com:444


이렇게 URL 앞에 git 만 붙여주니 해결되었다.



어떤 식으로든 클라이언트에서 저와 같은 URL 접속시에 패스워드를 전달 못하는 문제인거 같은데 Windows 10 에 뭔 보안이 또 강화됐나.

의문스러운건 다 같은 버전의 Windows 랑 git 을 깔았는데 자격 증명 설정 없이 된 사람은 뭐냐고...

또 Windows 10 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이 문제를 직면하진 않는다는거... 왓 더 ㅍ!!!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