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1457~1495, 재위 1469~1495)은 조선의 제9대 임금이며, 성은 이(李), 휘는 혈(娎)이다.

 

 

왕위 계승

 

세조의 장남이자 예종의 형인 의경세자. 그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
왕위를 계승해야 할 예종의 원자, 의경세자의 장자를 제치고 성종이 왕이 된 것은 할머니인 정희왕후와 장인인 한명회가 결탁하여 결정한 것이다. 정희왕후는 성종이 20살이 될 때까지 7년동안 조선 최초의 수렴청정을 하였으며 섭정 당시의 정치적 감각 덕분에 조정이 안정되었다. 수렴청정 기간의 모든 결정권은 한명회, 신숙주 등의 원로 대신들에게 있었고, 친정을 시작한 이후 성종은 권신들을 축출하고 길재, 김숙자의 문하생들을 대거 등용하였다.

 

 

사림파 / 문화 / 외교

 

친정이 시작되고 임사홍, 유자광 등을 축출하였으며 사림파 김종직 등을 등용함으로써 신진세력을 형성시켜 훈구파를 견제하였고 숭유억불 정책을 철저하게 실천하였다. 조선시대 초기 문물 제도는 성종 때에 거의 완성이 되었으며 문화 정책을 펴 <경국대전> 완성하고 반포, <동국여지승람>, <동국통감>, <악학궤범> 등 다양한 서적을 편찬 및 간행하였고, <경국대전> 에는 적서 차별과 서자의 관직 제한에 대한 구체적인 조항을 삽입하여 서자(庶子)들은 본격적으로 차별을 받게 된다.
대외적으로는 압록강, 두만강, 함길도 일대의 여진족을 소탕하는 등 북방 방비에 힘썼다.

 

 

후궁간의 갈등

 

첫 부인, 한명회의 딸 공혜왕후는 18세의 나이에 병으로 요절하였고, 첫번째 후궁 숙의 윤씨(폐비 윤씨)를 두번째 왕비로 간택하였다. 숙의 윤씨는 신숙주의 조카로 성종과 다른 후궁들 문제로 시어머니 인수대비와의 갈등으로 유명하며, 여색을 밝히는 성종의 오른쪽 뺨에 손톱자국을 내어 폐서인되었는데 인수대비와 원로 훈신들의 탄핵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내린다. 그 후 다른 후궁인 정현왕후 윤씨를 왕비로 삼게 되고 이는 중종의 생모가 된다.

 

 

최후

 

재위기간 25년 내내 선정을 베풀었던 성종은 폐비 윤씨 사사 사건 문제를 자신의 사후 100년간 언급하지 말 것을 유언으로 남기고 승하하였고, 능은 선릉(宣陵)으로 현재 강남구 삼성동에 있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