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Harmonics'에 해당하는 글 31건

Dominant 7th 의 코드 진행

 

 

어떤 Dominant 7th가 IM7 을 향해 도미넌트 모션으로 진행한다면, 다음과 같이 Secondary Dominant 7th 를 동반한 진행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V/I  I
 C Key  C#7  F#7  B7  E7  A7  D7  G7  CM7

 

 

또한 V7 나 Secondary Dominant 7th 와 증4도 관계에 있는 대리코드(Substitute chord)를 사용하여 반음씩 하행하는 도미넌트 모션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V/I  I
 C Key  B7  E7  A7  D7  G7  CM7
           subV/I  I
 C Key  F7  E7  Eb7  D7  Db7  CM7
         subV  V/I  I
 C Key  B7  Bb7  A7  Ab7  G7  CM7

 

 

Dominant 7th 를 IIm7 - V7 로 분할하며 진행할 수 있습니다.

 

               V/I    I
 C Key  E7    A7    D7    G7    CM7
   IIm7  V  IIm7  V  IIm7  V  IIm7  V  I
 C Key  Bm7  E7  Em7  A7  Am7   D7  Dm7  G7  CM7

 

               subV/I    I
 C Key  E7    Eb7    D7    Db7    CM7
   IIm7  subV  IIm7  subV  IIm7  subV  IIm7  subV  I
 C Key  Bm7  E7  Bbm7  Eb7  Am7  D7  Abm7  Db7  CM7

 

               IIm7  V/I  I
 C Key  Abm7  Db7  F#m7  B7  Em7  A7  Dm7  G7  CM7
               IIm7  subV/I  I
 C Key  Abm7  G7  F#m7  F7  Em7  Eb7  Dm7  Db7  CM7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Tension Resolve

Daily/Harmonics 2012. 12. 14. 01:10

Tension Resolve (텐션의 해결)

 

텐션을 비화성음으로 간주하여 2도 위나 아래의 화음음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텐션의 해결이라 합니다.

 

  1. Major 7th -> 6th C나 Cm 코드의 텐션으로 Major 7th 를 사용할 경우, 다음 화음을 Major 6th 로 연결하여 해결
  2. 9th -> 1 단, Major 7th chord의 경우 9th -> 1 로 해결시에, 단2도이므로 Major 7th -> 6th 를 함께 사용
  3. ♭9th -> 1, 9th -> ♭9th -> 1
  4. #9th -> ♭9th -> 1, #9th -> 9th -> ♭9th -> 1
  5. 11th (sus4) -> 3
  6. #11th -> 5
  7. 13th -> 5
  8. ♭13th -> 5, 13th -> ♭13th -> 5

 

결국 텐션이 해결될 때까지 반음씩 화음이 내려가는 현상이 보이네요.

 

 

왼손 코드를 파악하는 방법

 

  • 밑음 - 코드의 기본이 되는 음으로, 밑음이 없으면 다른 코드가 되어 버립니다.
  • 3도음 - 장3도(C6, CM7, C7)와 단3도(Cm6, Cm7, Cdim) 가 있으며, 코드의 성격을 정하는 매우 중요한 음입니다.
  • 5도음 - 반음 내리거나(C7-5, Cm7-5) 올릴(C7aug)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성격은 변하지 않습니다.
  • 7도음 - 밑음과 3도음으로 정해진 코드 성격을 더욱 명확하게 해주는 음입니다. (M7, m7, d7=M6)

 

그렇다면 최소한으로 필요한 왼손의 음은 3, 7도음이며 그 다음으로는 1, 5, 9, 13 을 넣습니다.

 

 

텐션의 분석

 

  • 텐션 바로 아래의 코드 톤은 텐션과 단2도 이므로 생략합니다.
  • 9th와 ♭9th, 9th와 #9th, ♭13th와 13th, ♭13th와 5th 음도 단2도 이므로 동시에 울리지 않도록 합니다.
  • ♭9th와 #9th, 13th와 5th 가 동시에 울릴 경우 온음으로 부딪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옥타브로 떼어 줍니다.
  • #11th를 사용할 때는 5th를 생략하던지, #11th를 옥타브 높입니다.
  • 11th나 #11th 를 사용할 때는 9th 를 함께 사용합니다.
  • 13th 역시 9th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사운드가 훨씬 풍부합니다.
  • 13th와 9th를 조합할 수 있는 6가지 코드 중 Minor key의 V7 에는 ♭13th + ♭9th, ♭13th + #9th 를 사용합니다.

 

 

Upper Triad (어퍼 트라이어드)

 

원래 코드의 1, 3, 7도 음 위에 텐션이나 코드 톤을 조합하여 3화음 형태로 만든 것을 어퍼 트라이어드(Upper Triad) 라고 합니다.
코드가 Bm7 { B D F# A } 일 경우, 1음(B) 이나 3음(D)이나 7음(A)부터 장조나 단조의 3화음을 만들면 됩니다. 

 

 

Cliche (클리셰)

 

같은 코드 안에서 왼손(베이스)음을 움직이는 것. 2개 이상의 코드를 움직이면 코드 클리셰라고 합니다.
[ C                             |  Dm                           ] 의 단조로운 코드에 다음처럼 클리셰 적용 ->
[ C    C6    CM7   C6    |  Dm  Dm+5  Dm6  Dm+5 ]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Tension

Daily/Harmonics 2012. 12. 13. 00:50

이전에 텐션은 9도 11도 13도 음이라고 쓰윽 지나간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코드에 9도 11도 13도 음의 동일한 텐션을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텐션에는 ♭9th 9th #9th 11th #11th ♭13th 13th 등 6가지가 있으며 다이어토닉 스케일을 벗어난 샵(#) 이나 플랫(♭) 이 붙은 텐션음들을 얼터드(altered: 변질된) 텐션이라고 합니다. Dominant 7th, Major 7th, Minor 7th, Diminished chord 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텐션이 각각 다릅니다.

 

 

텐션의 종류

 

 9th

 밑음부터 장9도의 음

 모든 코드에서 사용

 ♭9th

 밑음부터 단9도의 음

 Dominant 7th 에서 사용

 #9th

 밑음부터 증9도의 음

 Dominant 7th 에서 사용

 11th

 밑음부터 완전11도의 음

 Minor 7th 에서 사용

 #11th

 밑음부터 증11도의 음

 Major 7th, Dominant 7th 에서 사용

 ♭13th

 밑음부터 단13도의 음

 Dominant 7th 에서 사용

 13th

 밑음부터 장13도의 음

 Dominant 7th 에서 사용

 

기본적으로는 트라이어드 코드 구성음에 + 장9도(장2도) 음을 구하면 사용 가능한 텐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M7 의 경우 C-E-G 의 장9도 ---> D-F#-A 이 됩니다. Cm7 의 경우 C-Eb-G ---> D-F-A 가 됩니다. 모든 코드에서 가지는 1번음의 장9도는 9th 이므로 이 텐션음은 모두가 사용 가능합니다. 메이저와 마이너를 결정하는 3번음을 두고 봤을 때 메이저 코드에서는 #11th 를 사용 가능하며, 마이너 코드에서는 11th 가 사용 가능합니다.  sus4 코드는 3번음의 장9도가 5음과 겹치니 11th 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5번음을 가지는 메이저/마이너 코드는 5번음의 장9도 13th 를 사용할 수 있으며, ♭5 코드에서는 ♭13th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도미넌트 7th 코드는 다음에 와야할 코드에서 불안정한 음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추가로 ♭9th, #9th, ♭13th 등의 텐션음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 Major 7th : 9th #11th 13th

  • minor 7th : 9th 11th (13th)

  • minor 7th flat 5 : 9th 11th (♭13th)

  • sus4 7th : 9th (♭9th) 13th

  • Dominant 7th : ♭9th 9th #9th #11 ♭13th 13th

괄호의 텐션음들은 해당 코드나 다음 코드와 연주시 매끄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도미넌트 코드와 얼터드 텐션음들을 합쳐 얼터드 스케일(Altered Scale) 이 만들어 집니다. 1, 3, 7 음과 ♭9th, #9th #11, ♭13th 음. 예를 들어 C7 의 얼터드 스케일은 C-Db-D#-E-F#-Ab-Bb 이 됩니다. 5음은 텐션음 #11, ♭13th 과 부딪히므로 제외합니다.

 

 

Tension of Diminished Chord (디미니쉬드 코드의 텐션)

 

디미니쉬드 코드의 텐션은 7th 코드들처럼 9,11,13 음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Diminished 코드의 각 구성음의 온음 위 네 음이 텐션이 됩니다.
E♭dim 의 구성음 { E♭ F# A C } 을 모두 온음으로 상향시키면 Fdim { F G# B D } 가 됩니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Non Chord Tone

Daily/Harmonics 2012. 12. 11. 00:01

Nonchord Tone 은 화음 밖의 음, 비화성음입니다.
비화성음은 Tension 이 되기도, Avoid note 가 되기도 하지만 Avoid note 라고 해서 꼭 쓰지 말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CM7 의 화음이 { C E G B } 라면, { D F A } 는 비화성음 입니다.

 

 

화음의 음(Chord Tone) 뿐 아니라 화음에 포함되지 않는 음(Non Chord Tone)도 사용해야 좋은 멜로디를 만들 수 있습니다.
비화성음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즉흥연주(melody fake)에 큰 도움이 됩니다.

 

 

1. Passing tone (경과음,지남음)
2개의 화성음(Chord Tone)을 음계적으로 잇는 화음 밖의 음.

 

 

 

2. Appoggiatura (앞꾸밈음,전타음)
2도(주로 반음) 위나 아래에서 화성음으로 진행하는 음.

 

 

 

3. Neighbor tone / auxiliary note (도움음)
화음음에서 출발하여 2도 상행/하행하고 다시 처음의 화음음으로 돌아 올 때 2도음(주로 반음).

 

 

 

4. Suspension (걸림음,계류음)
앞 코드의 화음음이 붙임줄로 다음 코드까지 이어져 다음 코드의 밑음(9th), 3도음(sus4), 5도음(13th)으로 해결되는 음.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Minor scale chord

Daily/Harmonics 2012. 12. 4. 23:12

3가지의 Minor scale을 보았습니다.
Minor scale chord (단조의 음계상의 코드) 역시 3가지 입니다.

 

 

 Am key degree

 1

 2

 3

 4

 5

 6

 7

 Natural minor  Am7  Bm7-5  CM7  Dm7  Em7  FM7  G7
 Im7  IIm7-5  ♭IIIM7  IVm7  Vm7  ♭VIM7  ♭VII7
 Harmonic minor  AmM7  Bm7-5  CM7+5  Dm7  E7  FM7  G#dim
 ImM7  IIm7-5  ♭IIIM7+5  IVm7  V7  ♭VIM7  VIIdim
 Melodic minor  AmM7  Bm7  CM7+5  D7  E7  F#M7-5  G#m7-5
 ImM7  IIm7  ♭IIIM7+5  IV7  V7  VIm7-5  VIIm7-5

 

Natural minor scale chord의 코드 네임만 보면 Major scale chord 와 동일합니다.
동일한 조표에서 밑음을 A부터 시작하고, C부터 시작한 그 차이 입니다.
하지만 기능적으로 분석한다면 같은 코드 네임이라도 Major scale chord 와 확연히 다릅니다.
Major scale의 음계상의 코드는 IM7 - IIm7 - IIIm7 - IVM7 - V7 - VIm7 - VIIm7-5 였습니다.
Harmonic minor scale chord는 7도음을 반음 올려 Vm7을 V7로 만들었고 도미넌트 모션이 가능해 집니다.

 

  • ImM7 : 날카로운 음색
    Im6 : 특히 스윙재즈에서 자주 쓰임
    Im7 : 부드러운 음색
    Imadd9 : Im6도 Im7도 아닌 음색
  • IIm7-5 : Minor key의 기본이지만 IIm7을 쓸 때도 많음
    IIm7 : 부드러운 음색
  • ♭IIIM7+5 : 거의 사용하지 않음
    ♭IIIM7 : 나란한조의 IM7과 같음. 밝은 음색이며 조바꿈된 듯한 느낌을 줌
  • IVm6 : IIm7-5 와 구성음이 같음
    IV7 : Minor scale 이라기 보다 Dorian mode 의 색이 짙음. (mode는 추후 다시 설명)
    IVm7,  IVmadd9 : Im 에서처럼 주의하여 사용
  • V7 : 주로 사용
    Vm7 : Harmonic minor 의 V 이지만 Minor scale 이라기 보다 Aeolian mode 의 색이 짙음
  • ♭VIM7
    VIm7-5 : Im6 와 구성음이 같음
  • VIIdim : Im 로 진행하는 V7의 대리코드로 사용. 클래식에서 자주 쓰임
    VIIm7-5 : V7의 대리코드로 사용
    ♭VII7 : 나란한조의 V7와 같은 코드이므로, 조바꿈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VII 나 ♭VII6로 사용

 

 

Minor chord 기능별 분류 (Am key)

 

 Tonic  Subdominant  Dominant
 Im (Am)
 Im7 (Am7)
 Im6 (Am6)
 VIm7-5 (F#m7-5)
 ♭VIM7 (FM7)
 ♭IIIM7 (CM7)
 IIm7-5 (Bm7-5)
 IIm7 (Bm7)
 IVm6 (Dm6)
 IVm7 (Dm7)
 ♭VIM7 (FM7)
 V7 (E7)
 VIIdim (G#dim)
 VIIm7-5 (G#m7-5)
 ♭VII7 (G7)
 Vm7 (Em7)

 

 

Minor scale 코드 패턴 (Am key)

 

  1. Im - VIm7-5 - IIm7-5 - V7 (Am - F#m7-5 - Bm7-5 - E7)
  2. Im - ♭VIM7 - IIm7-5 - V7 (Am - FM7 - Bm7-5 - E7)
  3. Im - ♭VI7 - IIm7-5 - V7 (Am - F7 - Bm7-5 - E7)
  4. Im - ♭VII(6) - ♭VI(M7) - V7 (Am - G(6) - F(M7) - E7)
  5. Im - ♭III7 - ♭VIM7 - V7 (Am - C7 - FM7 - E7)
  6. Im - ♭VIM7 - IVm7 - ♭IIM7 (Am - FM7 - Dm7 - B♭M7)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