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Harmonics'에 해당하는 글 31건

Available Note

Daily/Harmonics 2013. 1. 8. 23:28

Available Note Scale

 

음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
편곡이나 애드립을 할 때 그 코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을 정리한 스케일을 Available Note Scale 이라고 합니다.

 

* 음계상의 코드에 대한 Available Note Scale

 

 [C key]

 

 I

 II

 III

 IV 

 V   VI   VII   I 
 C Ionian(I)  C

 D

 E

 F(X)  G  A  B  C
 D Dorian(II)

 D

 E   F   G   A   B(X)   C   D 

 E Phrygian(III)

 E  F(X)  G  A   B  (C)   D   E 
 F Lydian(IV)  F  G

 A

 B  C  D  E  F
 G Mixolydian(V)  G  A  B  C(X)  D  E  F  G
 A Aeolian(VI)  A  B  C  D  E  F(X)  G  A

 B locrian(VII)

 B  C(X)  D  E  F  (G)  A  B

 

(X)는 Avoid Note 이므로 화음밖의 음으로 활용합니다.
멜로디에서는 지남음이나 앞꾸밈음 등으로 사용하여 코드 톤으로 해결합니다.

 

 

* 텐션 사용시

 

IM7(9) - Ionian Scale 사용
I6(9) - Ionian.
IM7(9 #11) - Lydian.
IIm7(9 11) - Dorian.
IIIm7(11) - Phrygian. (C)음을 사용하면 IIIm7보다 IM7onIII 로 느껴지므로 주의합니다.
IIIm7(9 11) - Dorian. 9th 사용시 Dorian 을 사용합니다.
IVM7(9 #11) - Lydian.
V7(9 13) - Mixolydian.
VIm(9 11) - Aeolian.
VIIm7-5(11) - Locrian. (G)음을 사용하면 VIIm7-5 보다 V7onVII(9)로 느껴집니다.
VIIm7-5(9 11) - 9th 음의 사용으로 Altered Dorian / Locrian 9th 라고 합니다.

 

IM7, IVM7 이외의 Major 7th 코드(♭IIM7, ♭IIIM7, ♭VIM7, ♭VIIM7)에는 Lydian 을 사용.
IIm7, IIIm7, VIm7 이외의 Minor 7th 코드(♭IIIm7, #IVm7)에는 Dorian 을 사용.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Mode

Daily/Harmonics 2012. 12. 26. 00:30

모든 Major scale 은 7개의 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 Major scale 의 구성음은 C를 tonic(으뜸음)으로 하는 { C - D - E - F - G - A - B } 입니다.
Major scale 에서 각 구성음을 으뜸음으로 하여 7가지의 scale을 만들어내는 것mode 라고 합니다.
mode = scale 이 되지만 아래 7가지 이름들에 대해서는 주로 mode 라고 부릅니다. (Ionian, ..., Locrian)

구성음의 순서대로 각 mode는 { I - II - III - IV - V - VI - VII } 라고도 표기합니다.
어떤 키에서든 7개의 모드가 가능하며 기본음만 다를 뿐 그 구성음들은 같습니다.
즉, 모드 기반의 즉흥 연주 시 해당 scale의 어떤 음이든 연주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반주의 코드의 진행에 구속받지 않고 보다 자유로운 멜로디를 만들 수 있습니다.

 

 

C Major scale 기준

 

 Mode  degree

 Interval Sequence

 Example (C Major scale) 

 Ionian (아이오니안)  I  T-T-s-T-T-T-s

 C-D-E-F-G-A-B-C

 Dorian (도리안)  II  T-s-T-T-T-s-T  D-E-F-G-A-B-C-D
 Phrygian (프리지안)  III  s-T-T-T-s-T-T  E-F-G-A-B-C-D-E
 Lydian (리디안)  IV  T-T-T-s-T-T-s  F-G-A-B-C-D-E-F
 Mixolydian (믹솔리디안)  V  T-T-s-T-T-s-T  G-A-B-C-D-E-F-G
 Aeolian (에올리안)  VI  T-s-T-T-s-T-T  A-B-C-D-E-F-G-A
 Locrian (로크리안)  VII  s-T-T-s-T-T-T  B-C-D-E-F-G-A-B

 

  1. Major scale의 첫번째 mode인 Ionian 은 Major scale 과 같습니다.
  2. 두번째 mode인 Dorian은 natural minor scale과 비슷하지만 단6도가 아닌 장6도 입니다.
  3. 세번째 mode인 Phrygian도 natural minor scale과 비슷하지만 단2도가 아닌 장2도 입니다.
  4. 네번째 mode인 Lydian은 major scale과 비슷하지만 완전4도가 아닌 증4도 입니다.
  5. 다섯번째 mode인 Mixolydian도 major scale과 비슷하지만 장7도가 아닌 단7도 입니다.
  6. 여섯번째 mode인 Aeolian은 natural minor scale 입니다.
  7. 마지막 mode인 Locrian은 Phrygian 모드에 감5도를 더하는 독특한 mode 입니다.

 

  • 메이저 계열의 스케일(3음이 장3도) - Ionian, Lydian, Mixolydian
  • 마이너 계열의 스케일(3음이 단3도) - Dorian, Phrygian, Aeolian, Locrian

 

* C Lydian Mode 찾기.

 

  1. Lydian(IV)은 어떤 스케일의 4번째 음부터 시작한 모드입니다.
  2. 4번째 음으로 C 를 가지는 스케일 찾기. { G - A - B - C - D - E - F# } G Major scale 이네요.
  3. 결국 C Lydian Mode 는 G Major scale를 구성음으로 가지고 4번째 음(C)부터 시작하는
    { C - D - E - F# - G - A - B } 입니다.

 

C Key 기준

 

 Mode

 3rd

 Example (Character Note) 

 Chord (1,3,5,7)

 C Ionian (아이오니안)

 Major

 C-D-E-F-G-A-B-C

 CM7

 C Dorian (도리안)  minor  C-D-Eb-F-G-A-Bb-C (A, 6)  Cm7 Cm6
 C Phrygian (프리지안)  minor  C-Db-Eb-F-G-Ab-Bb-C (Db, 2)  Cm7
 C Lydian (리디안)  Major  C-D-E-F#-G-A-B-C (F#, 4)  CM7 CM7(#11)
 C Mixolydian (믹솔리디안)  Major  C-D-E-F-G-A-Bb-C (Bb, 7)  C7
 C Aeolian (에올리안)  minor  C-D-Eb-F-G-Ab-Bb-C   Cm7
 C Locrian (로크리안)  minor  C-Db-Eb-F-Gb-Ab-Bb-C (Db Gb, 2 5)  Cm7(b5)

 

  1. C Ionian 은 C Major scale 과 같습니다.
  2. C Dorian은 C natural minor scale에 비해 6번음이 샵(#) 되었습니다. (특징음 6번음)
  3. C Phrygian은 C natural minor scale에 비해 2번음도 플랫(b) 되었습니다. (특징음 2번음)
  4. C Lydian은 C Major scale에 비해 4번음이 샵(#) 되었습니다. (특징음 4번음)
  5. C Mixolydian은 C Major scale에 비해 7번음이 플랫(b) 되었습니다. (특징음 7번음)
  6. C Aeolian은 C natural minor scale 과 같습니다.
  7. C Locrian은 C natural minor scale에 비해 2번음과 5번음이 플랫(b) 되었습니다. (특징음 5번음)

C Major scale 의 구성음이 아닌 플랫(b)과 샵(#)이 붙은 음들(Non diatonic chord)은 관계조에서 차용한 음이며, 표 우측의 코드가 나올 때 스케일을 연주하고 싶다면 해당 모드를 연주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Cm7 코드에서는 도리안/프리지안/에올리안의 느낌들을 표현할 수 있겠네요.

 

 

특정 모드를 찾으려 할 때 어떤 방법이 더 효과적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C Major Scale 이 아닌 C Key 기준으로 메이저/마이너를 구분하고 외우는 것이 더 이해가 쉬웠습니다. 사실 Ionian/Aeolian 빼고 Major/minor 기준으로 5개... 열심히 외워 봅시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Modulation

Daily/Harmonics 2012. 12. 25. 20:12

Modulation(조바꿈)

 

1. 토닉 마침으로 조바꿈

 

1. 토닉(I)으로 마침하면 조성이 확립되므로 그 다음에는 나오는 코드로 조바꿈을 할 수 있습니다.
  key C                             Key E
[ IIm7     V7     | IM7           | IM7     VIm7...  ]
  key C                             Key A♭
[ IIm7     V7     | IM7           | IIm7     V7...     ]

2. 토닉 마침 후 조바꿈 전에 도미넌트 세븐스나 대리코드를 사용하여 조바꿈이 자연스러워 집니다.
  key C                     Key E
[ IIm7     V7     | IM7     V7       | IM7     VIm7...  ]
  key C                     Key A♭
[ IIm7     V7     | IM7     subVI7 | IIm7     V7...    ]

3. 2번의 도미넌트 세븐스를 IIm7 - V7 로 분할하여 조바꿈을 더 자연스럽게 합니다.
  key C                             Key E
[ IIm7     V7     | IM7           | IIm7     V7       | IM7     VIm7...  ]
  key C                             Key A♭
[ IIm7     V7     | IM7           | IIIm7    subVI7  | IIm7    V7...     ]

 

 

2. 공통화음(Pivot Chord)으로 조바꿈

 

Ckey 에서 공통화음으로 조바꿈할 수 있는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음계상의 코드 : IM7, IIm7, IIIm7, IVM7, V7, VIm7, VIIm7-5
  •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부속7) : VI7, VII7, I7, II7, III7
  • (세컨더리)도미넌트 세븐스의 대리코드 : ♭II7, ♭III7, IV7, ♭V7, ♭VI7, ♭VII7
  • 서브도미넌트 마이너와 그 대리코드 : IVm7, IIm7-5, ♭VIM7, ♭IIM7, ♭VII7
  • #IVm7-5

 

예로 Ckey에서 Am7 은 Gkey의 IIm7, Fkey의 IIIm7, Ekey의 IVm7 가 되므로 다른 key 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3. 마이너 세븐스를 반음 변화하여 조바꿈

 

Ckey 에서 Em7 - E♭m7, Am7 - A♭m7 등으로 마이너 세븐스를 반음 변화하여 조바꿈이 가능합니다.

 

 

4. V7, V7sus4, IIm7onV 를 단2도, 단3도 위로 그대로 옮기는 조바꿈

 

  key C                        Key D♭
[ IM7         | IIm7onV      | IIm7onV      | IM7         ]
  key C                        Key E♭
[ IM7         | IIm7onV      | IIm7onV      | IM7         ]

 

 

5. 도미넌트 세븐스(대리코드, IIm7 - V7)의 연속을 사용한 조바꿈

 

  key C                        Key F          Key B♭
[ CM7         | G7           | C7           | F7          | B♭M7      ]
[ IM7           | V7           | V7           | V7          | IM7          ]

  key C                        Key B          Key E
[ CM7         | G7           | F#7          | F7          | EM7         ]
[ IM7           | V7           | V7           | ♭II7        | IM7          ]

 

 

6. 나란한조의 조바꿈

 

나란한조 관계의 장조(Ckey)와 단조(Amkey)는 조표가 같고 공통화음이 많으므로 매우 자연스러운 조바꿈이 가능합니다.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Deceptive Cadence

Daily/Harmonics 2012. 12. 24. 00:10

Deceptive Cadence (거짓마침)

 

Cadence 는 곡을 마치는 것(마침꼴)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토닉 코드로 마치게 되며, 조성의 확립을 뜻하기도 합니다.
토닉으로 향하는 코드는 도미넌트나 서브 도미넌트로부터 나타나는데, 그 활용에 따라 마침꼴도 여러가지로 분류됩니다.

 

V7 - IM7 의 도미넌트 모션은 곡이 마치는 듯한 강한 느낌과 안정감이 있기 때문에,
엔딩을 조금 더 늘리거나, 곡의 중간쯤이라 곡을 마칠 수 없을 경우에는 거짓마침을 사용합니다.
거짓마침은 IM7 자리에 I의 대리코드(IIIm7, VIm7, #IVm7-5, IIIm7-5, III7)나 나란한 조의 대리코드(♭IIIM7, ♭VIM7)를 사용하여 곡을 마치지 않고,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 Dm7      G7       | C6               ] 의 바른 마침을...

 

V7 - IIIm7 : 역순환 코드
[ Dm7      G7       | Em7      Am7     ]

 

V7 - VIm7 : 클래식 화성법에서 자주 사용
[ Dm7      G7       | Am7      D7      |  Dm7      G7      |  C6               ]

 

V7 - #IVm7-5 : #IVm7-5 에서 I로 반음씩 하행하며 재즈 엔딩에 자주 사용
[ Dm7      G7       | F#m7-5  Fm7  Em7  E♭dim | Dm  D♭7  C6      ]

 

V7 - IIIm7-5 : IIIm7-5 다음엔 주로 VI7 가 나옴
[ Dm7      G7       | Em7-5   A7      |  Dm7...      ]

 

V7 - III7 : 멜로디가 I로 진행하여 III7aug 가 되는 경우도 있음
[ Dm7      G7       | E7        A7      |  Dm7...      ]

 

V7 - ♭IIIM7(6) : ♭IIIM7(6) 에서 I로 반음씩 하행
[ Dm7      G7       | E♭6  D7  D♭M7     |  C              ]

 

V7 - ♭VIM7 : ♭VIM7 는 서브도미넌트 마이너로 볼 수 있음
[ Dm7      G7       | A♭M7   D♭7     |  CM7              ]

 

 


다음은 IV 의 대리코드를 사용하는 마침입니다. 도미넌트 모션으로
[ Dm7      G7       | C  F(m)  C      ] 를 사용할 때 IV(F)는 I의 장식화음 입니다. 이럴 때 앞의 I(C)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 Dm7      G7       | F(m)     C      ] (IV, IVm의 대리화음 - ♭VIM7, ♭IIM7, ♭VII7, ♭VII)

 

V7 - IV, V7 - IVm
[ Dm7      G7       | F(m)  B♭7  C      ]

 

V7 - ♭VIM7
[ Dm7      G7       | A♭M7  D♭M7  CM7      ]

 

V7 - ♭IIM7
[ Dm7      G7       | D♭M7      CM7      ]

 

V7 - ♭VII7 : 서브도미넌트 마이너의 대리코드인(♭VII7)에서 서브도미넌트 모션 유지하며 ♭II7로 진행
[ Dm7      G7       | B♭7  E♭7  A♭7  D♭7  |  CM7              ]

 

V7 - ♭VII : 반음씩 상행
[ Dm7      G7       | B♭  B   C      ]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

한번 봤던 코드 패턴.

 

  1. I - VIm7 - IIm7 - V7
  2. I - #Idim - IIm7 - V7
  3. I - ♭IIIdim - IIm7 - V7
  4. I - I7 - IV - IVm

 

위 1, 2, 3 코드에서 도미넌트 세븐스를 IIm7 - V7 로 분할하고 대리코드()들을 사용하면 다양한 코드 진행들이 나타납니다.
멜로디와 어울리는 코드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1,2,3

 I
 I6
 IIIm7
 VIm7 

 VIm7
 #Idim
 ♭IIIdim
 VI7 (#Idim)
 II7 (♭IIIdim)
 ♭III7 (VI7)
 ♭VI7 (II7)
 ♭IIIm7 (♭III7)
 IIIm7(-5) - VI7 (VI7의 IIm7 - V7)
 VIm7 - II7 (II7의 IIm7 - V7)
 ♭VIIm7 - ♭III7 (♭III7의 IIm7 - V7)
 ♭IIIm7 - ♭VI7 (♭VI7의 IIm7 - V7)

 IIm7 

 V7
 ♭II7  

 4

 I 

 I7
 ♭V7 (I7)
 Vm7 - I7 (I7의 IIm7 - V7)
 Vm7 - ♭V7 (I7)
 IV 

 IVm
 ♭VII7 (IVm)

 

 

 

 


WRITTEN BY
손가락귀신
정신 못차리면, 벌 받는다.

,